react 썸네일react

2025-02-06

목차

  1. 지인과 사이드 프로젝트의 장단점과 역할 충돌
  2. 질문 잘하는 방법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팁
  3. Sentry 로그 상세화 및 AWS Amplify 연동 이슈
  4. 좋아요 토글 API 400 에러 문제와 해결 팁
  5. 웹개발 입문자가 배우면 좋은 기술과 jQuery 필요성
  6. 1인 개발자의 주거 선택 기준과 라이프스타일
  7.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고 방법과 모범코드 관점
  8. 개발자들 일상 및 유머, 소통 분위기

1. 지인과 사이드 프로젝트의 장단점과 역할 충돌 🤝

  • 지인과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 전 불편해질 걱정이 많음.
  • 보통 지인과 함께하면 감정 충돌이나 역할 분담 문제 발생 가능성 있음.
  • 특히 기획 역할이 가장 충돌이 많다고 조언됨.
  • 연인 사이일 경우, 프로젝트 진행시 비즈니스와 감정 사이 혼란이 커질 수 있음.
  • 해결 팁: 역할과 지분 분배를 명확히 하고, 초기부터 기분 상하는 부분을 피하기 위해 사전 합의 필요함.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역할 충돌이 많은 기획 역할은 개발 외 비즈니스 결정에 주로 관여해 의견 차이로 다툴 가능 큼.

2. 질문 잘하는 방법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

  • 질문할 때는 단순히 의문 제기만 하지 말고, 왜 그 의문이 생겼는지 배경 설명하기.
  • 가능하면 대체안이나 아이디어를 함께 제안해 협업자의 이해를 돕는다.
  • 상대방이 '왜 이걸 묻는가'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질문 의도를 분명하게 표현하는 게 중요함.
  • 개발자 팁: 질문 전에 스스로 충분히 고민하고, 질문은 상대에게 시간을 줄 수 있도록 순서와 타이밍 고려.
  • 회사에서도 피처 설명 후 질문하는 시간을 미리 갖는 게 효과적이라고 함.

3. Sentry 로그 상세화 및 AWS Amplify 연동 이슈 🔍

  • Sentry는 웹·모바일에서 발생하는 오류들을 추적할 수 있는 도구이며, sourcemap 기능이 중요함.
  • sourcemap은 빌드된 번들 파일을 실제 개발 코드와 매칭해 오류 위치를 정확히 알려주는 파일임.
  • AWS Amplify를 사용해 배포 시 설정 문제로 인해 로그가 제대로 찍히지 않는 경우가 있음.
  • 문제 발생 시 연동 과정을 다시 점검하고, 배포 설정과 sourcemap 설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함.
  • 실수 방지 팁: 문제를 겪으면 빠르게 이슈를 정리해 질문하고, 혼자 해결하려다 꼬이지 않게 한다.

4. 좋아요 토글 API 400 에러 문제와 해결 팁 ⚙️

  • API 호출 시 서버에 communityId가 undefined로 전달되면서 400 에러 발생.
  • 보통 이런 문제는 호출 부분이 아닌 값을 전달하기 전에 해당 값이 제대로 세팅되는지 확인 필요.
  • console.log() 등을 활용해 호출 직전과 함수 내에서 값이 올바른지 꼼꼼히 체크해야 함.
  • API 요청 함수와 콜하는 컴포넌트 양쪽에서 값을 주고받는 로직 재검증 필요.
  • 팁: 에러 응답과 로그를 함께 보는 습관을 들여 어디서 undefined가 됐는지 추적.

5. 웹개발 입문자에게 좋은 기술과 jQuery 필요성 ✨

  • HTML과 CSS는 웹개발 초석으로 반드시 배워야 한다고 권장됨.
  • jQuery는 과거 많이 쓰였지만 현재는 필수 기술이 아니며, 최신 개발 환경에선 거의 사용하지 않음.
  • 현대 웹개발은 React, Vue, Angular 같은 프레임워크 중심으로 배우는 게 효과적.
  • 입문자에게는 기초 웹 표준과 최신 도구 활용법을 추천.

6. 1인 개발자 주거 선택 기준과 라이프스타일 🏠

  • 월세 집 선정 시 역세권, 월세 합리성, 리모델링 여부, 모션 데스크(책상) 지원 등이 고려됨.
  • 출퇴근 시간 단축이 가장 큰 우선순위라는 의견이 많음.
  • 1인 개발자라면 공간 효율성도 중요해 작은 평수지만 출퇴근 가까운 곳 선호.
  • 각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업무 환경에 따라 선호 조건이 다를 수 있음.

7.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고와 모범코드 시각 👀

  • 실시간으로 커밋이 쌓이는 운영 중인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공부에 도움 됨.
  • 오픈소스 코드는 여러 기여자가 작성하기 때문에 항상 모범코드와는 거리가 있을 수 있음.
  • 모범코드란? 잘 관리되고 일관된 컨벤션을 준수하는 코드라는 의미.
  • 처음엔 다른 사람 코드 읽기가 어렵지만, 다양한 사례를 보면 성장에 큰 도움이 됨.
  • 팁: 커밋 로그를 보며 실수와 수정 과정을 함께 공부하면 더 효과적.

8. 개발자들 일상 및 유머 소통 🌟

  • 금요일이라 다들 일주일 마무리 기분 좋은 분위기.
  • 감정과 업무 구분, 서로의 상황에 대해 농담과 유머 섞인 대화가 활발.
  • 개발자로서 모두가 겪는 현실적 고민과 스트레스도 같이 공유.
  • 이런 소통은 팀워크와 커뮤니티 형성에 긍정적 역할.

면접팁⚡

  • 협업시 역할별 갈등 주의점: 기획자가 중심을 잡지 못하면 개발 중 갈등 발생 가능성 크니, 면접에서 협업 경험과 갈등 해소 방법 질문 시 좋음.
  • 질문하는 능력 강조: 문제 상황에서 어떻게 명확하게 질문하고 대안을 제시하는지 사례 들어 말하면 긍정적 인상.
  • API 디버깅 경험 언급: undefined 이슈와 같은 실무 문제를 해결했던 구체적 경험을 말해보자.
  • 오픈소스 활용 경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코드를 읽고, 기여하거나 학습한 경험을 어필하기.

링크🔗

#사이드프로젝트#질문방법#Sentry#AWSAmplify#API디버깅#웹개발입문#1인가구개발자#오픈소스#개발자커뮤니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