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대규모 원티드 불합 이슈와 취업 시장 현황
- 회사 생활, 출근과 퇴사 분위기 이야기
- 리액트 네이티브, 앱 배포 관련 질문과 답변
- SDK 개발 입문과 팁
- Vite 배포 시 모듈 해시 문제와 해결 방법
- 딥러닝 모델 DeepSea와 ChatGPT 비교 의견
- 플루언트 UI 관련 경험 공유
- 영어 주석 작성 문화
- 연봉 협상과 경제 상황 토론
- 소셜 분위기와 가벼운 잡담
1. 대규모 원티드 불합 이슈와 취업 시장 현황
- 원티드 불합격 횟수가 449회에 다다르는 사례가 언급됨.
- 취업 시장이 많이 냉각되어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됨.
- 포트폴리오, 문서, 타게팅 문제일 가능성 높음.
- 현직자 코칭이나 상담을 받는 것을 추천함.
- 경력이나 신입 여부에 따른 차별화된 어려움 존재.
포트폴리오와 타게팅의 중요성
취업 준비 시 단순히 기술 역량뿐 아니라 문서화, 포트폴리오 구성, 그리고 목표 기업과 직무에 맞는 지원 전략이 중요하다. 현직자의 조언이나 멘토링은 현실적 피드백과 방향성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된다.
2. 회사 생활, 출근과 퇴사 분위기 이야기
- 회사는 종종 ‘전쟁터’ 같다는 농담 속에 이어짐.
- 출근길의 피로, 퇴사 통보 절차에 대한 질문과 답변 오고감.
- 실제로 대부분 한 달 전에 퇴사 의사를 말하는 게 관례임.
- 개인마다 마음가짐과 회사에 대한 태도가 다양함.
퇴사 절차 기본 이해
일반적인 회사 문화에서는 퇴사의사를 최소 한 달 전에 미리 알리는 것이 상호 예의를 지키고, 업무 인수인계에 필수적이다. 갑작스러운 퇴사는 회사와 본인 모두에게 불필요한 문제를 낳을 수 있다.
3. 리액트 네이티브, 앱 배포 관련 질문과 답변
- 스토어에 배포할 앱 만들 때 꼭 리액트 네이티브를 써야 하는가?
- 답변: 반드시 쓰지 않아도 된다. 다양한 방법과 도구 활용 가능.
- 실제 앱 배포에는 여러 접근법과 플랫폼별 차이가 존재함.
리액트 네이티브란?
모바일 앱 개발에서 웹 기술(자바스크립트, 리액트)을 활용하여 iOS와 Android 앱을 동시에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다. 그러나 네이티브 개발(코틀린, 스위프트)이나 PWA(웹앱) 등 대체 옵션이 있어 목적과 조건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4. SDK 개발 입문과 팁
- SDK 개발은 js 실행 환경에서 원하는 작업을 하도록 만든다.
- 구체적 방식을 처음 접한다면 검색과 문서 참고 필수.
- 이미 많은 오픈 소스와 참고 자료가 존재함.
- npm 같은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쉽게 배포 가능.
SDK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는 개발자가 특정 플랫폼이나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API, 라이브러리, 툴, 문서 등을 묶어 제공하는 패키지다. SDK를 활용하면 복잡한 기능 구현을 단순화하며 재사용성을 높인다.
5. Vite 배포 시 모듈 해시 문제와 해결 방법
- Vite에서 lazy import 사용 시 배포 후 기존 사용자에게 import error 발생 사례 공유됨.
- 원인: 기존 앱이 참조하는 모듈 해시값이 서버에 없기 때문.
- 일반적 해결책은 새로고침하지만 UX에 좋지 않음.
- 상태 유지하려면 URL 쿼리, 로컬 스토리지, IndexedDB 활용 가능.
- 근본적 해결책은 인프라 구조 개선: 예를 들어 빌드별 경로 분리, 이전 버전 유지를 권장.
- 해시를 끄는 것은 위험하며 권장하지 않음.
배포 시 해시값 역할
정적 자원 파일명에 해시값을 붙여 파일 변경 시 캐시 문제를 방지한다. 하지만 해시값이 바뀌면 클라이언트가 모듈을 찾지 못해 오류가 날 수 있어, 여러 버전 자원을 동시에 제공하는 인프라 설계가 중요하다.
6. 딥러닝 모델 DeepSea와 ChatGPT 비교 의견
- DeepSea가 ChatGPT보다 한국 수능 문제를 못 풀었다는 루머 공유됨.
- 하지만 성능 비교는 모델 특성, 활용 목적, 오픈소스 여부로 판단해야 함.
- DeepSea는 효율성, 오픈소스가 강점임.
- ChatGPT는 거대한 언어 모델로 다목적에 적합.
7. 플루언트 UI 관련 경험 공유
- 플루언트 UI 사용 경험 질문에 일부 개발자가 별로 쓸 이유 없다고 답함.
- 직접 써본 개발자는 Shadcn UI 경험은 있다고 언급.
Fluent UI란?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React용 UI 라이브러리이며, 일관된 디자인과 인터렉션을 제공한다. 주로 MS 제품과 기업용 앱에 자주 사용됨.
8. 영어 주석 작성 문화
- 회사별 주석 언어 정책은 다양함.
- 대부분 회사 규정에 따름.
- 한글 주석을 사용하기도 하고, 영어 주석이 기본인 경우도 있음.
- 농담삼아 "2진수 주석" 하는 회사도 있었음.
9. 연봉 협상과 경제 상황 토론
- 올해 연봉 협상은 전체적으로 차갑다는 의견 많음.
- 안 깎인 것에 감사해야 할 정도라는 반응도 존재.
- 해고 위협, 삭감 현실 속에서 안정화 기대 어려움.
- 개인마다 감정적 반응 다양함.
10. 소셜 분위기와 가벼운 잡담
- 개발자들 사이에 장난스러운 대화, 인사, 농담 활발.
- 데이트, 생활, 가족 이야기 공유.
- 서로 응원과 소소한 격려도 오감.
면접팁⚡
- 원티드 등 대규모 지원 시 불합격 폭주 경험은 방향설정이 중요하다는 신호임.
- 포트폴리오 구성, 문서화 작업, 그리고 목표 기업에 맞춘 지원이 필요하다.
- 현직자 멘토링이나 면담을 통해 실질적인 조언을 받으면 경쟁력이 올라감.
- 취업 준비 중엔 기술 역량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능력, 회사문화 적응력도 함께 계발하자.
링크🔗
- Vite 배포 문제 및 해결 논의: https://github.com/vitejs/vite/issues/11804
- Next.js 서버 인스턴스 배포 이슈 정리: https://www.blog.kcd.co.kr/next-js-%EC%84%9C%EB%B2%84-%EC%9D%B8%EC%8A%A4%ED%84%B4%EC%8A%A4-%EB%B0%B0%ED%8F%AC%ED%95%A0%EB%95%8C-%EB%82%98%ED%83%80%EB%82%98%EB%8A%94-%ED%99%94%EC%9D%B4%ED%8A%B8%EC%95%84%EC%9B%83-%ED%98%84%EC%83%81%EC%9D%84-%EA%B3%A0%EC%B3%90%EB%B3%B4%EC%9E%90-4ce9af868dd8
- Vite 이슈 참고 블로그: https://mine-it-record.tistory.com/m/696
#개발자대화#취업시장#배포이슈#Vite#리액트네이티브#SDK개발#딥러닝#UI라이브러리#연봉협상#개발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