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js 썸네일nestjs

2025-01-24

목차

  1. 카카오페이 이슈와 연봉 협상 성공기
  2. 주식 및 투자 이야기
  3. Drizzle ORM과 Prisma 비교 및 경험 공유
  4.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및 운영 주의사항
  5. Maven + Lombok 문제 해결 팁
  6. Swagger, Nestia와 DTO 기본값 이슈
  7. 개발자 커리어와 목표 설정
  8. 부동산 투자 및 재테크 주제
  9. 개발자 커뮤니티와 외주 사이트 정보
  10. 기술 면접 팁⚡

1. 카카오페이 이슈와 연봉 협상 성공기

  • 카카오페이와 카카오톡 사용자 개인정보 이슈 및 과징금 논란이 화제됨.
  • 누출된 개인정보 때문에 보상이나 과징금 배분에 대한 의견이 오갔음.
  • 한 개발자는 이 커뮤니티 덕분에 연봉 15% 인상에 성공했다며 감사 인사를 전함.
  • 성공 비결은 대표에게 평소 좋은 인상을 남기고, 업무 기여도를 수치화해 전달했던 점과 기대 이상의 매출 기록이 큰 역할을 했다고 공유함.
  • 카카오톡은 한국 사회에서 필수 앱이라 사용을 끊기 어렵다는 의견도 등장.

2. 주식 및 투자 이야기

  • 개발자 지인 중 상당수가 애플, 솔라나, 달러 스테이킹 등 안전자산 위주로 투자하고 있음.
  • 장기투자(장투맨) 스타일로 월급 들어오면 꾸준히 매수하는 전략이 많음.
  • 금융 상식 부족을 인정하면서 S&P 500 ETF와 현금 비중 조절을 조언하는 의견도 있었음.
  • 원화보다는 달러 보유를 추천하며, 원화는 인플레이션으로 가치가 하락한다는 이야기가 나옴.
  • 부동산 투자와 대출 상환 계획에 대한 현실적인 대화도 포함됨 (예: 20억 아파트 10년 할부).
  • 부동산은 "꼴보기 싫은 집주인" 문제 해결이나 국가지원 수단으로도 활용한다는 현실적인 시각이 공유됨.

3. Drizzle ORM과 Prisma 비교 및 경험 공유

  • NextJS SaaS 스타터 프로젝트에서 Drizzle ORM 사용하는 것을 발견.
  • Drizzle ORM은 Prisma보다 한 단계 추상화된 느낌이며, SaaS 프로젝트에 적합할 수 있음.
  • Drizzle 쿼리빌더와 자동완성 기능이 좋다는 인상도 있음.
  • Drizzle 문서가 매우 난해하다는 농담과 함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I hate Drizzle" 반응도 공유됨.
  • Prisma는 마이그레이션과 생산환경 동기화에 안정성이 있지만 아직 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함.

4.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및 운영 주의사항

  • 운영 중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 시, Prisma나 TypeORM의 자동 동기화(push나 synchronize) 기능이 데이터 손실 위험이 있음.
  • 특히 varchar에서 text 타입 변경 등은 신중하게 진행해야 하며, 데이터 소실 사례도 보고됨.
  • 추천하는 안전한 방법은:
    1. 로컬이나 개발 환경에서 먼저 마이그레이션 테스트
    2. 실제 운영 DB는 수작업으로 동일 작업을 반영
    3. DB 간 diff 분석 툴을 활용해 차이점 확인
  • Prisma 사용자의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 요약:
    • prisma migrate diff로 변경점 확인
    • prisma db pull로 스키마 최신화
    • 신규 마이그레이션 생성 및 prisma migrate resolve로 싱크 맞춤
    • 실제 배포는 prisma deploy 순서로 진행
  • 컬럼 데이터 타입 변경 시에도 단순 푸시보다 단계적 마이그레이션 권장 (예: 컬럼 복제 후 전환).

5. Maven + Lombok 문제 해결 팁

  • Spring Boot Maven 프로젝트에서 Lombok 애너테이션(@Setter, @Getter)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문제 빈발.
  • 종종 IDE나 빌드 시스템에서 의존성 새로고침이 필요함.
  • Gradle은 IDE 내 의존성 정리 후 새로고침 버튼으로 해결 가능.
  • Maven은 플러그인 설정이나 IDE 재빌드가 필요할 수 있음.
  • Lombok 사용 후 에러가 계속 날 경우, 프로젝트를 클린 빌드하거나 Lombok 버전/플러그인 호환성을 재확인 추천.

6. Swagger, Nestia와 DTO 기본값 이슈

  • Nestia 사용 시 DTO에 jsdocs 주석으로 Swagger 기본값 지정 (@default)이 동작하지 않는 버그 혹은 이슈 문의.
  • Swagger 문서에 기본값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API 문서화 시 주의 필요.
  • DTO를 interface로 정의하면 일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니 클래스 사용 권장.
  • 이 문제는 오픈 소스 관련사항이므로 이슈 트래커에 등록 후 패치 대기 혹은 임시방편 문서화 방법 활용 필요.

7. 개발자 커리어와 목표 설정

  • 2025년 목표로 ‘커리어 향상’, ‘부하 테스트 경험’, ‘시스템 디자인 학습’이 언급됨.
  • 오픈 소스 기여를 희망하는 의견도 나옴.
  • 주니어와 5년차 이상의 개발자 차이를 인정하면서, 욕심을 갖고 성장하려는 자세 중요성 강조됨.
  • 프로페셔널함이 중요하며, 어느 회사든 ‘충성’은 돈과 자기 발전을 위한 것이라는 실용적 관점 공유됨.

8. 부동산 투자 및 재테크 주제

  • 여러 개발자가 부동산 대출, 월세, 대출 상환 계획에 대해 현실적인 의견 공유.
  • "빚 없는 삶"이 목표이나, 대출을 통한 자산확장 전략도 받아들여짐.
  • 집 구매 이유는 ‘이사하기 싫어서’라는 개인적인 사연도 등장해 공감 표시.
  • 조심스러운 매수 전략과 국가지원 활용법 소개.

9. 개발자 커뮤니티와 외주 사이트 정보

  • 개발 프리랜서(백엔드) 구하는 사이트로 ‘위시켓(Wishket)’ https://www.wishket.com/project/#clear 가 추천됨.
  • 커뮤니티는 실무 경험 공유와 협력, 외주 정보 교류 창구 역할을 하고 있음.
  • 다양한 라이브러리정보, 마이그레이션 팁 등이 활발하게 교환됨.

면접팁⚡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마이그레이션 시, 자동 동기화의 위험성과 수동 관리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ORM 선택 기준과 장단점(Prisma vs Drizzle 등), SaaS에 적합한 툴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할 준비 필요.
  • 빌드 도구(Maven vs Gradle)와 Lombok 같은 라이브러리 문제 해결 경험도 가산점 요소임.
  • 대규모 사용자 개인정보 이슈와 보안, 회사와 커뮤니티 내 협상 경험을 진솔하게 이야기하면 인상적.

링크🔗

#카카오페이#주식투자#ORM#Prisma#Drizzle#DB마이그레이션#Maven#Lombok#Swagger#재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