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셜 로그인과 토큰 관리 방식
- NestJS와 패키지 버전 이슈
- Prisma, Linux버전 문제와 개발 환경 안정화
- 커플 다이어리 앱 소개 및 피드백 요청
- 커플 매칭과 테스트 환경 이야기
- 앱 출시 계획과 사용자 반응
- 개발자들의 서버 신뢰 및 데이터 보안 고려
- 개발 관련 유머와 일상 소소한 대화
1. 소셜 로그인과 토큰 관리 방식 🔐
- 소셜로그인을 통해 받은 accessToken과 refreshToken은 로그인 시 사용자 인증에 사용.
- 이후에는 두 개 토큰 모두 지속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을 못 느껴서 내부에서 별도의 토큰을 발급해 통신에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
- RTR(Rotate Refresh Token) 기법은 accessToken 만료 시점에 refreshToken 또한 갱신하는 방법인데, 네이버·카카오 같은 소셜로그인 제공처에서 refreshToken의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엔 재발급이 불가능해 어려움이 있음.
- 토큰 관리 팁: 실제 서비스에서는 소셜로그인 토큰과 별개로 자체 발급하는 토큰을 운영하면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 개념 설명:
- accessToken: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짧은 유효기간의 토큰.
- refreshToken: accessToken이 만료되었을 때 새로운 accessToken을 발급받기 위해 사용되는 좀 더 긴 유효기간의 토큰.
- RTR기법: refreshToken도 주기적으로 갱신해 보안을 높임.
2. NestJS와 패키지 버전 이슈 🐞
- NestJS 사용 시 패키지 버전 충돌과 의존성 문제로 에러 발생 사례 보고.
- @nestjs/platform-express 패키지가 dependency에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운로드 오류가 발생.
- 해결 방법: 수동으로 npm install 후, Docker 실행 커맨드에도 설치 명령을 추가해 문제 회피.
- 참고: 스테이블 버전에서도 일부 패키지가 의도치 않게 깨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필요.
3. Prisma, Linux버전 문제와 개발 환경 안정화 ⚙️
- Prisma 사용 시 Linux OS 버전 문제로 동작 불안정 보고.
- NestJS 패키지 버전 문제와 별개로 여러 개발 환경 이슈가 겹쳐 개발자들 사이에서 불만 표출.
- 해결하려면 환경 버전 정보를 정확히 맞추고, 호환성 이슈 체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
4. 커플 다이어리 앱 소개 및 피드백 요청 ❤️
- 개발자 방 내 커플들이 만든 안드로이드 앱(커플 다이어리) 소개.
- 실 사용 경험과 약점에 대한 솔직한 피드백 요청.
- 앱은 연인이 서로 일기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됨.
- 아이폰 버전도 곧 출시 예정.
5. 커플 매칭과 테스트 환경 이야기 💑
- 테스트 과정에서 페어(커플)가 없어 정상적인 검증이 어렵다는 의견.
- 혼자서 테스트 기기 두 대를 활용하거나, 방 내 커플 간 매칭으로 테스트하려는 시도.
- 개발자들 사이에서 "남자-남자 매칭" 농담도 오감.
6. 앱 출시 계획과 사용자 반응 🚀
- 안드로이드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이미 출시된 상태.
- 아이폰용 앱은 다음 주 출시 예정이라 기대감 표출.
- 사용자 중 일부는 솔로라서 사용 자체가 어렵다는 재미있는 반응도.
- "귀찮아서 못 쓸 것 같다"는 현실적인 피드백도 공유됨.
7. 개발자들의 서버 신뢰 및 데이터 보안 고려 🔒
- 백엔드 개발자들은 타인이 관리하는 서버에 중요 데이터를 맡기기 꺼려하는 분위기.
- 개인 정보나 중요한 데이터는 서버에 남기기 보다는 로컬 혹은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관리하려는 경향.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신중한 접근 필요.
8. 개발 관련 유머와 일상 소소한 대화 😂
- 주말에 에러 해결하는 개발자들에 대한 농담과 응원.
- "킬커플", "삼촌님" 등 다양한 별명과 재미난 대화.
- 서로의 연애 상황, 커플 상태 등을 유머러스하게 풀어내며 친목 도모.
면접팁⚡
- 소셜로그인 토큰과 자체 토큰의 차이점 설명하기
면접 시 OAuth 토큰(accessToken, refreshToken)의 역할과 제한사항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중요. - RTR기법(토큰 회전)에 대한 이해
보안 강화 관점에서 왜 refreshToken도 주기적으로 갱신해야 하는지, 그리고 실제 서비스에서의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면 좋음. - 패키지 의존성 문제 해결 경험 공유하기
NestJS나 Prisma 같은 유명 프레임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버전 충돌과 그에 따른 문제 해결 과정을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으면 인상적임.
링크🔗
- 커플 다이어리 앱 (안드로이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iutlabs.couplediary
#소셜로그인#토큰관리#NestJS#패키지이슈#Prisma#커플앱#앱테스트#서버보안#개발환경#개발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