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썸네일react

2025-04-29

목차

  1. Three.js와 인터렉티브 웹 포트폴리오 활용
  2. 토스 취업 지원 및 문서화 작업 경험
  3. 이직 준비와 이력서 피드백 요청
  4. 통신사 유심 이슈와 보안 사고 토론
  5. 모바일 키보드와 iOS 가상 키보드 이슈
  6. MBTI와 개발자 성향 관련 이야기
  7. 휴대폰 배터리 효율 및 사용 경험 공유
  8. eSIM 도입 및 통신사 서비스 변화
  9. 스크립트 언어 선택과 TypeScript 활용
  10. 윈도우 이벤트 로그 분석 팁

1. Three.js와 인터렉티브 웹 포트폴리오 활용 🎨

  • 핵심: Three.js로 만든 인터렉티브 웹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에 넣어도 괜찮을까라는 고민
  • 설명:
    Three.js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로, 웹 브라우저에서 3D 표현을 가능하게 함. 활용 회사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회사가 Three.js를 사용하는 경우 아니면 포트폴리오 효과가 덜할 수 있음.
  • 의견: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을 직접 다뤘다는 점이 중요하며 멋있어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포트폴리오에 넣을 필요는 없다. 대신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고 프로젝트를 의미있게 구성하는 게 좋음.

2. 토스 취업 지원 및 문서화 작업 경험 📝

  • 핵심: 토스 취업 포지션 도전 의사와 문서 작성 부담
  • 설명:
    문서 작성 역량도 점점 중요해지는 추세이며, 특히 토스 같은 대기업은 문서화에 많은 비중을 둠. 개발뿐 아니라 문서 작성도 능숙해야 함.
  • 팁:
    블로그 10년 경력과 AI 도구 활용으로 문서 작업을 효율화하면 좋음. AI를 활용해 문서 초안을 잡고, 자신의 스타일로 다듬으면 부담이 줄어든다.

3. 이직 준비와 이력서 피드백 요청 💼

  • 내용: 여러 개발자들이 이직 준비 중이며, 이력서 피드백을 상호 요청함.
  • 팁:
    이력서 작성 시 구체적인 프로젝트 경험과 역할, 사용 기술을 명확히 기재해야 하며, 맞춤형 자기소개서 작성도 필수.
  • 조언:
    면접관 입장에서 기술뿐 아니라 지원자의 성장 가능성과 팀 적합성도 본다. 멍개님 등 선배 개발자에게 리뷰 받는 것도 큰 도움 됨.

4. 통신사 유심 이슈와 보안 사고 토론 📱🔐

  • 핵심: SKT 유심(USIM) 복제 관련 보안 사고와 유심 보호 서비스
  • 배경 설명:
    유심 복제는 해커가 기존 유심 정보를 복사해 다른 단말기에서 같은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공격 방법임. 이번 사고로 가입자 전화번호, 식별키(IMSI) 등이 유출됨.
  • 대처법:
    많은 개발자가 유심 보호 서비스를 가입하고 유심을 교체하는 것을 권장함. 유심을 절대 끄지 말아야 복제폰이 연결되지 않음.
  • 논란:
    eSIM(embedded SIM, 내장형 유심)으로 교체 시 비용과 지원 여부에 대해 논의중. eSIM은 유심칩 없이 스마트폰에 내장되며 원격으로 프로파일을 설정함.

5. 모바일 키보드와 iOS 가상 키보드 이슈 📲

  • 문제: iOS에서 가상 키보드 사용 시 visualViewPort와 layerViewPort가 중첩되어 웹에서 자연스러운 스크롤 동작이 어려움
  • 설명:
    iOS는 가상 키보드가 올라올 때 뷰포트를 자동 조정해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데, 웹에서는 이로 인해 요소 위치 계산이 부정확해지는 문제가 발생함.
  • 해결 팁:
    모바일 앱(React Native 등)에서는 키보드 이벤트를 직접 받아 처리 가능하지만, 웹에서는 수동으로 offset 값을 조정하거나, 부자연스러운 현상을 감수해야 함.

6. MBTI와 개발자 성향 관련 이야기 🧠

  • 내용: INTJ, ENTJ 등 NT형이 개발자 중에 많이 보임
  • 설명:
    MBTI 성격 유형 중 NT형(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성향)이 개발 직군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음.
  • 재미 포인트:
    INTJ, ENTJ 성향이 스티브 잡스와 같은 혁신적인 리더 유형과 비슷하다는 이야기 공유.

7. 휴대폰 배터리 효율 및 사용 경험 공유 🔋

  • 정보:
    휴대폰 배터리 최대 효율이 85% 정도면 평균 수준으로 3년 정도 사용한 것과 유사함.
  • 경험:
    무선충전이 배터리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음.
  • 생활 팁:
    방전 상태로 오래 두기보다 지속적으로 충전하는 습관이 배터리 관리에 이로움.

8. eSIM 도입 및 통신사 서비스 변화 🌐

  • 설명:
    eSIM은 내장형 유심으로, 스마트폰에 SIM 칩을 물리적으로 삽입하지 않고 원격으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번호를 사용할 수 있게 함.
  • 논쟁:
    기존 물리 유심에서 eSIM으로 전환 시 일부 통신사에서는 교체 비용 발생, 지원하지 않는 휴대폰도 존재함.
  • 현황:
    SKT 등 주요 통신사에서 eSIM 무료 교체 정책이 나오고 있으나, 대리점 시스템과 재고 문제로 실제 전환은 복잡하고 시간 소요.
  • 보안:
    eSIM도 해킹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복제 리스크는 낮음.

9. 스크립트 언어 선택과 TypeScript 활용 👨‍💻

  • 대화:
    실무에서 JavaScript(JS)를 사용할 것인지 TypeScript(TS)를 사용할 것인지 의견 분분
  • 설명:
    TypeScript는 JS에 타입 시스템을 추가해 개발 중 오류를 줄이고 코드 품질을 높임.
  • 고충:
    일부 개발자는 컴파일 에러로 인한 번거로움 때문에 JS를 선호하기도 함.
  • 팁:
    TS는 메모리 상에서 컴파일 후 즉시 실행 가능하므로, 컴파일 후 따라서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음.

10. 윈도우 이벤트 로그 분석 팁 🖥️

  • 상황: MSSQL 서버 등에서 문제 발생 시 이벤트 뷰어(eventvwr.msc)를 활용해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추천
  • 팁:
    오류나 경고 메시지를 시간순 또는 심각도별로 정렬하여 문제 원인을 추적할 수 있음.
  • 예시:
    네트워크 연결 장애, 의존성 서비스 혹은 서버 자체가 셧다운됐는지 등을 쉽게 파악 가능.

면접팁⚡

  • 포트폴리오에 넣는 프로젝트는 단순히 화려함보다 실제로 경험한 기술의 이해를 깊게 보여주는 것이 중요
  • 문서화 능력이 갈수록 중요한 역량으로 평가받음. 블로그나 깃허브 README 작성 등으로 미리 준비할 것
  • 이력서 작성 시 구체적이고 명확한 역할 및 기술 스택 기재 필수
  • 보안 이슈에 대한 기본 지식과 최근 트렌드(유심 복제, eSIM 등)에 대해 이해하고 대비책을 말할 수 있으면 플러스
  • 모바일 개발 시 iOS와 Android의 특징 및 한계(가상 키보드 문제 등)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

링크🔗

#ThreeJS#포트폴리오#이직준비#통신사보안#유심#ESIM#iOS개발#MBTI#TypeScript#윈도우이벤트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