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업무시간 외 메신저 사용 주의
- 방 관리자 계정 정지 및 채팅방 문제
- 욕설 필터링과 성능 고려
- 테스트 코드 작성 현황과 고민
- 프론트엔드 캐시 문제와 버전 동기화 방법
- 미디어 포맷 변환과 ffmpeg 활용
- 일일 코드 작성량과 개발 스타일 토론
- LLM에게 알고리즘 질문해도 괜찮은가?
- 개발자 커뮤니티 운영과 이슈 대응
- 소소한 이야기와 사내 분위기
1. 업무시간 외 메신저 사용 주의 🕒
- 회사 방침으로 업무시간 외 메신저 사용 시 엄격한 제재가 있다는 경고가 공유됨.
- 개발자들도 개인 시간 존중과 사생활 보호 필요성 언급.
2. 방 관리자 계정 정지 및 채팅방 문제 🚫
- 일부 채팅방에서 방장 계정이 정지되어 입장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함.
- 방장은 채팅방 내 중요한 권한을 갖고 있으며, 정지 시 방 운영에 큰 차질 발생.
- 해결책으로 부방장들이 새 방을 개설 후 기존 멤버들을 초대해 재구성하는 방안 논의.
- 채팅방 신고 누적에 따른 자동 제재 메커니즘 이해가 필수.
기술 설명
채팅방 관리 시스템은 구성원 행위 평가 및 신고 누적 시 자동으로 계정을 일시 정지함.
관리 권한 이전과 정지 해제 절차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커뮤니티 운영에 혼란을 줄임.
3. 욕설 필터링과 성능 고려 ⚠️
- 실시간 욕설 필터링은 성능 이슈와 정확도 사이 균형이 중요함.
- 키워드 기반 필터링은 단순하지만 예외 처리와 오탐이 많아 수동 작업이 많이 필요함.
- 머신러닝 기반 필터링은 학습 모델 구축과 유지에 시간과 비용이 듦.
- 외부 API 사용으로 개발 부담 완화 가능하나 비용과 개인정보 이슈도 고려해야 함.
기술 설명
- 키워드 기반 필터링: 특정 단어 리스트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간단하지만 우회 가능성 있음.
- 머신러닝 필터링: 문맥 인식을 통해 욕설뿐 아니라 비속어, 모욕적인 표현 등도 탐지 가능하나 복잡함.
- 외부 API: 구글, AWS 등에서 제공하는 필터링 서비스 활용 시 빠른 도입 가능하나 비용 관리와 API 응답시간 고려 필요.
4. 테스트 코드 작성 현황과 고민 ✅
- 팀별로 유닛 테스트(Unit Test)와 엔드투엔드 테스트(E2E Test)를 선택하거나 병행하는 사례 다양.
- 일부는 테스트 코드 작성을 최소화하고 실제 사용자의 버그 리포트에 의존하는 문화도 존재.
- 테스트 커버리지와 생산성 간 균형 유지가 중요한 이슈로 언급됨.
기술 설명
- 유닛 테스트: 작고 독립적인 코드 조각을 검증하는 테스트로 빠른 피드백과 디버깅에 유리.
- E2E 테스트: 사용자 시나리오 전반을 검증하는 테스트로 실제 사용 환경에 가깝지만 구축 및 유지 비용이 높음.
5. 프론트엔드 캐시 문제와 버전 동기화 🔄
- SPA(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에서 새 버전 배포 후 사용자에게 새 콘텐츠가 바로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음.
- 주로 브라우저 캐싱과 서비스워커(Service Worker)에 의한 영향이 큼.
- 해결책으로는 배포 시 버전 체크 API 구현, 강제 새로고침, 404 페이지 활용 등이 있음.
- 웹소켓 등을 통해 실시간 배포 공지나 캐시 무효화 작업도 논의됨.
기술 설명
- 서비스워커: PWA(프로그레시브 웹 앱)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로 네트워크 요청을 가로채 캐시를 관리하며 오프라인 대응도 가능.
- SPA 특성상 라우팅 시 전체 페이지가 새로고침되지 않아, 캐시된 이전 리소스가 유지될 위험 있음.
- 배포 버전 비교 후 새 버전이 있을 때 적용을 유도하는 로직이 필수.
6. 미디어 포맷 변환과 ffmpeg 활용 🎥
- webm 파일을 mp3나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는 작업에 대한 고민 공유됨.
- ffmpeg는 미디어 처리 표준 도구로 활용도가 매우 높음.
- 다만, 브라우저 환경, 모듈 페더레이션과의 호환 문제로 직접 적용이 까다로울 수 있음.
- WAV 파일은 용량이 커서 실사용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7. 일일 코드 작성량과 개발 스타일 토론 💻
- 개발자 별로 하루 코딩 라인 수가 크게 차이남(수십 줄부터 수천 줄까지 다양).
- 코드의 양보다는 질과 작업의 성격 (기능 추가, 버그 수정 등)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우세.
- PR(Pull Request) 크기가 코드량 측정에 일부 도움이 되나, 단순 수치는 전체 생산성 평가 수단으로 부족함.
8. LLM에게 알고리즘 질문해도 괜찮은가? 🤖
- 대체로 허용하는 분위기지만, 무조건적인 의존은 자제 필요.
- 코드를 한 줄만 작성하더라도 임팩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는 개발자가 존재함.
- 스스로 개념 이해와 코딩 연습 병행이 바람직함.
9. 개발자 커뮤니티 운영과 이슈 대응 🛠
- 일부 유튜버 영상 공유를 포함해, 커뮤니티 내 운영 이슈와 건의사항이 활발히 교환됨.
- 방장과 부방장의 역할 분담, 신고 처리 시스템 이해가 커뮤니티 지속성 유지에 중요함.
- 비밀방이나 권한 분리 등의 운영 방식도 필요에 따라 논의됨.
10. 소소한 이야기와 사내 분위기 🗣
- 커밋 수가 666개인 날과 13일의 금요일 이야기 등 유머러스한 대화 포함.
- 팀 분위기와 개인 근황, 건강검진 관련 이야기, 퇴근 시간 카운트다운 등 일상적인 소통 활발함.
- 개발자들의 인간적인 면모와 유대감이 느껴지는 대화가 이어짐.
면접팁⚡
- 테스트 코드 관련 질문 시 유닛 테스트와 E2E 테스트의 장단점과 적용 상황 중심으로 답변 준비할 것.
- 프론트엔드 캐싱 문제 대비 질문에 대비해 SPA 특성과 서비스워커 역할, 그리고 배포시 캐시 무효화 전략을 이해하면 좋음.
- 욕설 필터링 시스템에 관해 묻는 경우, 키워드 기반과 머신러닝 기반 필터링의 차이점과 현실적 적용 방식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개발 문화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질문에는 업무시간 외 대화 예절과 커뮤니티 운영 경험 등을 언급하면 인상적임.
링크🔗
- https://youtu.be/wd2_y9z5R3A?si=4q9lvK5hOXhP2Srp (관련 유튜브 영상 공유)
#업무문화#깃헙커밋#채팅방관리#욕설필터링#테스트자동화#프론트엔드#캐시문제#ffmpeg#개발자커뮤니티#개발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