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미국 환율 및 경제 정책 토론
- 사이드 프로젝트 홍보 및 운영 고민
- 개발자들의 취미와 일에 대한 생각
- 디자인 시스템 부재 상황과 해결 방안
- API 설계: RESTful과 화면 맞춤형 API 이슈
- GraphQL과 REST API 사용 경험
- 개발 설계와 코드 리뷰, 그리고 성장
- 드래그앤드롭 라이브러리 추천과 기술 이야기
- CSS 추상화와 재사용 어려움
- 스타일 관리 도구와 개발 생산성
1. 미국 환율 및 경제 정책 토론 💵
- 최근 미국 달러 환율 상승에 대한 개발자들의 토론
- 금리 인상, 최저임금 인하, 통화량 축소와 인플레이션 관련 다양한 의견 제시
- 금리와 변동금리: 변동금리는 이자율이 시장 상황에 따라 바뀌는 금리로, 대출자 입장에서는 금리 상승 시 부담이 커질 수 있음
- 통화량 조절: 정부가 경제 과열 방지를 위해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조절하는 정책
- 의견 충돌: 일부는 최저임금 인하를 통한 통화량 관리 필요, 다른 한편에서는 최저임금 인하에 따른 사회적 문제 우려
- 개발자들이 경제 전반에 대한 관심과 현실적인 고민을 나눔
2. 사이드 프로젝트 홍보 및 운영 고민 🎯
- 본인의 사이드 프로젝트 홍보 의사 표현과 운영진에 문의 방법 공유
- 사이드 프로젝트의 수익 배분, 예비창업 지원 및 명의 대여 문제에 대한 우려
- 실제 사용자 모집이 목적이며, 홍보 시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언이 오감
- 서비스가 제대로 개발된 후 홍보가 어렵기도 하다는 경험 나눔
3. 개발자들의 취미와 일에 대한 생각 🎮🛠️
- 개발을 취미로 하는 것과 직업으로 하는 것에 대한 고민
- 게임 개발을 시작해 보면 개발의 어려움과 재미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는 조언
- 스트레스와 업무에 대한 개인적인 토론도 활발, 일과 취미의 경계에 대한 인사이트 공유
- 개발자의 정신 건강과 업무 강도에 대한 공감도 이어짐
4. 디자인 시스템 부재 상황과 해결 방안 🎨
-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이나 공용 컴포넌트 구축 요구 상황 토론
- 디자인 시스템이란?: UI 구성요소, 스타일 가이드, 컴포넌트 재사용 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한 것
- 디자인 없는 상태에서 팀 내 통일성 유지가 어려움
- 외부 라이브러리(MUI, Ant Design, Mantine) 활용 제안
- 시니어 관리자들의 인식과 팀원의 개발 환경 문제 발생
- 결론: 디자이너 채용을 건의하거나, 잘 정리된 컴포넌트를 도입하는 것이 현실적 해결책
5. API 설계: RESTful과 화면 맞춤형 API 이슈 🔗
- RESTful API는 자원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HTTP 메서드를 사용하는 아키텍처 패턴
- 개발자들 경험에서 서버가 도메인 모델 그대로 API를 내줘서 API 호출이 너무 많거나,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 병합을 하게 되는 문제 발생
- 화면에 맞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주기 위해 비 RESTful 설계가 필요한 경우가 많음
- 클라이언트 데이터 가공과 캐싱 전략, 백엔드와 프론트간 역할 분담 중요성 강조
- 업무 균형과 개발 생산성을 위해 서로의 역할을 이해하는 태도 필요성 논의
6. GraphQL과 REST API 사용 경험 ⚙️
- 일부 개발자들은 GraphQL만 사용하는 환경에서 REST API 이직 시 단점 우려
- GraphQL은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만 요청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달 가능
- RESTful과 GraphQL 혼용 사례와 각각 장단점 간략 공유
- GraphQL 리졸버 설계가 복잡하지만 잘 하면 유지보수가 편해짐
- 선택은 프로젝트 요구와 팀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
7. 개발 설계와 코드 리뷰, 그리고 성장 🔍
- 설계 없이 개발 시작하면 나중에 디버깅과 유지보수에 고통이 크다는 경험담
- 코딩 시 설계의 중요성과 코드 리뷰의 성장 효과 강조
- 실패와 고통을 통해 실력을 키우는 과정에 대한 긍정적 시각
- 풀스택 개발 경험을 추천하며, 백엔드와 프론트 모두 이해하는 것이 개발팀 내에서 유리하다는 의견
- 자기 주도적 학습과 경험 축적의 중요성 강조
8. 드래그앤드롭 라이브러리 추천과 기술 이야기 🖱️
- React 생태계에서 많이 논의된 드래그앤드롭(DnD) 라이브러리 소개
- deprecated된 react-beautiful-dnd를 대체하는 dnd-kit 추천
- pragmatic-drag-and-drop(Atlassian 제작)도 언급되었으나, 대세는 dnd-kit
- DnD 구현 시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인 xstate를 활용한 경험도 공유됨
- 최신 라이브러리 사용과 상태 머신 이해를 통해 스킬셋 확장 가능
9. CSS 추상화와 재사용 어려움 🎨
- 디자인이 조금씩 다른 버튼 등 컴포넌트들의 스타일 통일 문제 토론
- CSS에서 !important 사용이 많아지면 관리가 어려워지는 단점 발생
- 추상화란?: 복잡한 코드를 단순화하고 공통된 부분을 뽑아내 재사용성을 높이는 과정
- CSS 추상화는 감각과 경험이 필요하며, 완벽히 해결하기 어려운 영역이라는 공감
- 부트스트랩 같은 UI 프레임워크가 이미 추상화를 잘 해둔 좋은 예시임
10. 스타일 관리 도구와 개발 생산성 향상 💻
- Tailwind, Styled-components, Stylex 같은 스타일 도구 활용 경험과 고민 공유
- Variant 개념: 스타일 속성 집합을 미리 정의해 컴포넌트에 다양하게 적용시키는 기법
- 기존 CSS 오버라이딩의 어려움과 스타일 도구 도입 시 학습 곡선 문제
- 생산성 높이려면 본인과 팀에 맞는 스타일 관리 방법 선택이 중요
- 팀 내 표준 스타일 도구 결정과 문서화의 필요성 강조
면접팁⚡
- API 설계 관련 질문에 대비하라: RESTful API와 화면 핏한 API의 차이를 이해하고, 팀 상황에 맞는 설계 이유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기본 개념과 공용 컴포넌트의 차이점 숙지
- GraphQL과 REST API의 장단점을 사례와 함께 설명할 수 있으면 좋음
- 코드 설계와 유지보수 경험에 대해 자신의 학습 과정과 어려움을 솔직하게 나누며 성장 의지를 보여주기
- 최신 React 라이브러리(dnd-kit 등) 활용 경험 또는 테스트한 경험을 어필하면 플러스
링크🔗
- dnd-kit GitHub - 최신 드래그앤드롭 라이브러리
- Pragmatic Drag and Drop (Atlassian)
- Yearend.kr - AI가 톡방 대화 분석
- Cursor AI Rules: https://docs.cursor.com/context/rules-for-ai
- Awesome Cursor Rules GitHub: https://github.com/PatrickJS/awesome-cursorrules
- Youtube - Flutter 관심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yss8GPTuEqU
#프로그래밍#API설계#디자인시스템#GraphQL#드래그앤드롭#개발철학#CSS#사이드프로젝트#개발자일상#생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