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백준 알고리즘 성취 및 목표
- Ant Design Table의 Fixed Column 문제
- 질문하는 법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 집에서 즐기는 드립커피 맛 차이 원인
- 아픈 팀원 조기 퇴근 관련 사례
- Frontend 구조 설계와 FSD 적용 고민
- 자바스크립트 void 연산자 설명
- React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현황
- TypeScript JSX 내 제네릭 문법 이슈
- 2025 당근 WinterTech 인턴십 안내
1. 백준 알고리즘 성취 및 목표 🎉
- 한 개발자가 백준 실버1 등급 달성 축하 받음.
- 내년 목표로 골드 1~2까지 오르는 것을 계획 중.
- 일부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만으로는 의미를 크게 못 느껴서 백준을 자주 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존재.
- 알고리즘 성취는 자부심과 함께 취업 준비나 실무 연습에 도움됨.
2. Ant Design Table Fixed Column 문제 🛠️
- Ant Design의 Table 컴포넌트에서 fixed 열(fixed column)을 지정했는데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현상 문의.
- 원인으로는 문서대로 구현하지 않은 경우, 설정 누락, CSS 문제, 구조적 오류 등이 있음.
- 핵심은 공식 문서 꼼꼼히 확인 후 속성 설정과 CSS 적용을 철저히 해야 해결 가능.
- 고수들 조언: 질문할 때 정확한 코드 공유와 재현 환경 제시가 중요.
3. 효과적인 질문 방법과 커뮤니케이션 💬
- 질문은 단편적이지 않고 상황과 오류, 시도했던 해결법, 코드 일부를 포함해야 적절한 답변을 받을 수 있음.
- GPT와의 질문도 마찬가지. 구체적이지 않으면 AI도 원하는 답변을 주기 어려움.
- 신입이나 실무 초년자는 질문 및 검색 스킬부터 배우길 권장.
- 사내 위키, 노션 등 자주 사용하는 자료들을 먼저 참고하는 습관도 중요함.
4. 집에서 즐기는 드립커피 맛 차이 원인 ☕
- 같은 원두, 같은 레시피라도 집에서 내린 커피와 카페 커피 맛이 다른 이유에 대해 토론.
- 주요 원인:
- 물의 온도, 수질, 내리는 시간에 따라 맛이 달라짐.
- 원두 보관기간과 로스팅 후 산화(산폐) 정도 영향.
- 추출 도구와 방식(에스프레소 vs 핸드드립) 차이.
- 기분, 주변 분위기, 정성 등 심리적 요인도 맛 체감에 영향.
- 전문가 팁:
- 원두는 필요한 만큼만 갈아 즉시 사용하는 것이 신선도 유지에 도움.
- 집에서도 드립 직접 해보면 감각 훈련 가능.
- 완벽한 카페 맛은 머신 차이와 숙련도 문제로 쉽지 않음.
5. 아픈 팀원 조기 퇴근 사례 🏥
- 회사에서 아픈 직원이 반차 혹은 조기퇴근 신청 시 처리하는 일반적인 관례 질문.
- 대부분 회사, 특히 중소기업은 증상이 심할 경우 즉시 퇴근시키고 연차 처리나 휴가 활용 권장.
- 대표나 상사의 명령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 있지만 실무에선 빠르게 퇴근 시키는 문화가 많음.
- 몸 상태가 심각하면 당장 보내야 한다는 공감대 존재.
6. 프론트엔드 구조 설계와 FSD 적용 고민 🏗️
- 서비스 중 크기가 작은 부분을 Feature-Sliced Design(FSD)을 적용해 리팩토링하는 중에 고민이 많음.
- 특정 페이지에만 필요한 UI는 views 레이어 내 페이지 슬라이스 아래 ui에 둠.
- 여러 페이지에서 공통으로 쓰이는 위젯은 widget 레이어에 둬야 하는지 명확히 구분 필요.
- FSD는 기능 단위로 구조화해 유지보수를 쉽게 하는 설계법으로, Next.js의 pages와 충돌 문제에도 대응함.
7. 자바스크립트 void 연산자 설명 🚫
- void 연산자는 표현식의 결과를 항상 undefined로 만드는 단항 연산자임.
- 용도 예시: 링크 클릭 시 페이지 이동 값을 무효화하거나, 즉시 호출 함수에서 반환값 무시할 때 사용.
- 초보자 참고: MDN 문서(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void)를 읽어보면 자세히 이해 가능.
- 실무에선 드물게 쓰이나, 상황에 따라 의도한 반환값 억제용으로 유용.
8. 리액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동향 📦
- 주로 언급된 라이브러리: Redux, Jotai, Zustand, Context API, Recoil
- Redux는 전통적으로 많이 쓰이며 복잡한 상태관리에도 견고함.
- Jotai와 Zustand는 비교적 가볍고 간결한 API로 주목받음.
- Recoil은 초기 관심 많았으나 최근 리액트 버전 호환성 문제로 사용 감소 추세.
- 선택 기준은 프로젝트 규모, 팀 선호도, 학습 난이도, 유지보수 편의성 등.
9. TypeScript JSX 내 제네릭 문법 이슈 ❓
- TSX 파일에서 함수 제네릭 선언 시 <T> 대신 <T,>와 같이 콤마를 붙이는 경우가 있음.
- 이유는 JSX 문법과 충돌로 TS가 태그로 오해하지 않게 묵시적으로 구문 해석을 돕기 위함.
- TS 파일에서는 콤마 없이도 잘 동작하지만 TSX는 모호성 해소를 위해 이 규칙 권장.
- 이를 이해하면 TS와 JSX 혼용 시 문법 오류를 줄일 수 있음.
10. 2025 당근 WinterTech 인턴십 안내 📢
- 당근이 6번째로 진행하는 WinterTech 인턴십 개시.
- 대상: 3학년 2학기~4학년 대학생 및 졸업 예정자(2025.02)
- 모집 분야: Backend, Frontend, Android, ML, SRE 등 다양한 기술 직무 포함.
- 일정: 서류 접수 12/30
1/10, 근무 2/245/23 - 온라인 설명회: 1월 6일 월요일 오후 5시, 참가 신청 구글 폼 링크 제공.
- 관심 있는 학생은 준비하여 지원 가능.
면접팁⚡
- 지원 직무 관련 알고리즘 문제 단계별 목표 설정과 성공 경험 공유는 효과적임.
- 프론트엔드 구조 설계에 대한 이해, 특히 FSD 같은 모듈화 접근법에 대한 질문 대비 필요.
- React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간 장단점과 용도 비교 질문에 답변 준비하기.
- TypeScript JSX 문법 관련 혼동 문제, void 연산자의 용도 설명도 직무 관련 기초 지식으로 도움됨.
- 질문하는 법과 커뮤니케이션 중요성을 강조하며, 모호한 질문을 명확히 하는 능력을 어필하면 긍정적.
링크🔗
#백준#React#TypeScript#프론트엔드#드립커피#FSD#void연산자#상태관리#인턴십#질문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