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커뮤니케이션과 소소한 일상 공유
- React Router v7과 TailwindCSS 이슈
- 서버 컴포넌트(Server Components) 사용 사례
- SSR과 Partial Hydration 개념과 현실적 활용
- Next.js 404 페이지 상태코드 문제
- 한글 입력 완전 차단 이슈와 해결 팁
- React와 최신 프레임워크에 대한 현황과 고민
- 면접팁⚡
- 링크🔗
1. 커뮤니케이션과 소소한 일상 공유 🍽️
- 개발자들 간의 친근한 대화와 식사 메뉴 추천이 활발하게 오감.
- 역삼 지역 맛집과 웨이웨이, 카레, 짜장 등 구체적인 메뉴 추천도 공유됨.
- 낮은 온도에 대한 농담과 일상적인 인사도 포함되어 팀 분위기가 자연스럽고 편안함을 보여줌.
2. React Router v7과 TailwindCSS 이슈 🕸️
- React Router v7은 최신 버전으로 쓸 만하다는 평이 존재.
- 하지만 React Server Components(RSC)를 아직 미지원해 논란이 있음.
- TailwindCSS가 필수로 기본 설치되는 점에 대한 불만이 많음.
- 보통 라이브러리 설치 시 꼭 필요한 것만 포함되길 기대하는 개발자들이 많음.
- Next.js는 설치 전에 물어보는 걸로 유명하지만, v7은 무조건 Tailwind 포함.
- 이런 기본 설정 강제 적용은 개발자 경험(Developer Experience)을 해칠 수 있음.
3. 서버 컴포넌트(Server Components) 사용 사례 🧩
- 서버 컴포넌트는 React 18에서 도입된 개념으로, 서버에서 렌더링되는 컴포넌트다.
- 주로 정적 콘텐츠와 동적 콘텐츠가 혼재한 경우에 유용하며, 서빙 성능 최적화에 도움 준다.
- 하지만 메모리 사용량 증가와 서버 자원 부담 문제로, 잘 쓰지 못하는 경우도 많음.
- 전문적인 프론트엔드나 서버 지식이 없으면 남용해 서버 부하 초래 가능.
- 제대로 활용하면 스트리밍 SSR과 부분 하이드레이션(partial hydration)이 핵심 기능임.
4. SSR(서버 사이드 렌더링)과 Partial Hydration 🖥️
- SSR은 초기 페이지 렌더링을 서버에서 미리 처리해 사용자에게 빠르게 보여주는 기술.
- Partial Hydration은 SSR로 렌더링한 페이지 중 일부만 클라이언트에서 인터렉티브하게 하도록 작동하는 기법.
- Gatsby 공식 문서에서 관련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어 참고할 만함.
- 현실에선 SSR 제품 활용 미숙으로 서버 과부하 발생, 클라우드 비용 폭증 이슈도 존재.
- Vercel 같이 SSR 관련 기능과 연동된 서비스들은 비용이 다소 높고, 커스터마이징이 어렵다는 지적도 있음.
5. Next.js 404 페이지 상태 코드 문제 ❗
- Next.js 14버전에서 동적 서버 컴포넌트 기반 404 페이지에서 페이지는 정상 작동하나 HTTP 상태 코드는 200으로 응답함.
- 이는 빌드 후 배포된 환경(특히 AWS Amplify)에서만 발생하는 버그로 현장에서 혼란 야기.
- 기본 404 페이지는 문제없으나, 커스텀 동적 404 페이지는 이슈가 있음.
- 해결책으로는 공식 문서, GitHub 이슈 참고를 권장하며 확장자 설정이나 export 설정 옵션이 영향을 줄 수 있음.
6. 한글 입력 완전 차단 이슈와 해결 팁 🔤
- JavaScript로 한글 입력을 완전히 차단하려 할 때 keydown 이벤트 등에서는 입력 값을 완전히 통제하기 어렵다.
- 특히 input 이벤트에서 값을 조작하면 ‘값 복사 버그’가 발생, 입력이 두 번 처리되는 문제 존재.
- 이때는 requestAnimationFrame을 이용해 값을 지연 처리하는 방식이 어느 정도 해결책이 될 수 있음.
- 하지만 완벽한 방법은 없고, preventDefault나 pattern 속성의 제한도 한계가 있음.
- 구체적인 코드를 공유하면 더 정확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음.
7. React 및 최신 프레임워크 동향과 고민 🤔
- Next.js가 개발자들에게 사랑받으면서도 동시에 아쉬움과 불만도 공존함.
- 대안 프레임워크 부재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사용한다는 현실.
- React Server Components와 같은 신기술은 사용 난이도가 높아 제대로 활용하는 회사가 적음.
- Vercel 과금 문제, 내부 커스터마이징 어려움과 같은 인프라적 제약도 존재.
- React Router v7는 유용하지만 RSC 미지원, Tailwind 강제 설치 문제는 두고두고 논란 예상.
8. 면접팁⚡
- SSR과 Partial Hydration의 차이 및 활용 이유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React Server Components(Server Components)의 개념과 한계점을 이해하고, 언제 쓰이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좋음.
- Next.js 404 상태코드 처리 문제나 배포 시 나타나는 이슈에 대해 질문 받을 수 있으니 경험 공유 준비 권장.
- JavaScript 이벤트 처리(특히 한글 입력 관련 이슈)에 대한 이해도면에서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 능력도 중요함.
- 최신 React Router 버전 변화와 TailwindCSS 같은 인프라 결정에 대한 개발자 경험의 중요성도 짚고 넘어가면 좋음.
링크🔗
- 라이코스 https://lykos.ai/
- Gatsby Partial Hydration 개념 https://www.gatsbyjs.com/docs/how-to/performance/partial-hydration/
- Gatsby Partial Hydration 기술 설명 https://www.gatsbyjs.com/docs/conceptual/partial-hydration/
- MDN pattern attribute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ML/Attributes/pattern
#ReactRouter#TailwindCSS#ServerComponents#SSR#PartialHydration#Nextjs#한글입력#프론트엔드#개발현황#404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