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일상 대화와 근황
- 피그마(Figma)와 UI 에디터 개발 이야기
- 코드 길이와 추상화에 대한 토론
- 잠 깨는 방법과 커피 이야기
- Next.js 14 파비콘(Favicon) 문제 및 검색 엔진 반영 지연
- React OAuth Google 라이브러리 에러 메시지 관련 질문
- 투자와 재테크, 1억 모으기 계획
- 개발자들의 근무 환경과 회식 문화
- HTTP 999 오류 전설과 유머
-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 framer motion과 뷰트랜지션 추천
1. 일상 대화와 근황
- 참가자들은 날씨 이야기를 주로 나눴으며, 추운 날씨에 맞는 농담과 음악 이야기로 분위기를 풀었음.
- 월급 지연 문제에 대해 노동청 신고와 “군것질로 받는 것” 같은 유머 섞인 해결책도 거론.
- 회식에 대한 선호도는 다양했으며 술과 고기, 비용 부담 문제 등이 주요 화제로 나왔음.
- 커피나 음료 관련 농담도 많았음.
2. 피그마(Figma)와 UI 에디터 개발 이야기
- 피그마는 웹 기반 UI 디자인 도구로 디자이너와 개발자 사이에서 인기가 높음.
- “피그마 만들라니”라는 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직접 UI 에디터를 개발하는 작업은 쉬워 보이나 많은 고려사항이 있음.
- UI 에디터 개발에는 완성도, 기간, 사용성 등 다양한 변수들이 관여.
- 초보자에게도 도전해볼 만하지만, 완성도가 낮으면 폐기되는 경우도 많음.
- 참고로 Figma는 벡터 그래픽, 프로토타이핑, 협업 기능 등 고급 기능들을 제공하는 복잡한 소프트웨어임.
3. 코드 길이와 추상화에 대한 토론
- 파일당 코드 길이에 대한 의견 다양:
- 200~300줄 이하로 유지하면 유지보수와 리뷰에 유리하다고 보는 의견.
- 그러나 코드 줄 수보다는 추상화의 질과 가독성, 논리적 구조가 더 중요하다는 주장도 강함.
- 지나치게 작은 파일로 쪼개면 오히려 복잡해지는 '스무고개 문제' 발생 가능성.
- 유명 라이브러리 코드 예시로, 페이스북 리액트 내부 코드가 900줄 이상임에도 오히려 관리되고 있음을 언급.
- 리팩토링은 처음부터 잘 구조화하지 않으면 어렵고,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코드 길이 기준이 다를 수 있음.
- 결론: 코드 품질은 줄 수보다 이해하기 쉽고 버그가 적은 설계가 더 중요.
4. 잠 깨는 방법과 커피 이야기
- 잠 깨는 방법으로 키보드에 커피 쏟기 농담과 아메리카노가 자주 언급됨.
- “창문 열고 5만원 지폐를 밖으로 흔들면 잠이 깬다”는 재미있는 팁도 공유됨.
- 실제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추운 공기 마시기, 가벼운 스트레칭, 창밖 보기 등 추천.
- 카페인은 과용 주의.
5. Next.js 14 파비콘(Favicon) 문제 및 검색 엔진 반영 지연
- Next.js 14 프로젝트에서 icon.ico 또는 favicon.ico를 app/layout.tsx에 등록했으나, 네이버 검색 결과에 파비콘이 안 나오는 현상 발생.
- 주요 원인 분석:
- 네이버 검색엔진 캐싱 문제 가능성.
- HTML 내 favicon 링크 태그 누락 또는 잘못된 경로.
- robots.txt에서 파비콘 접근 차단 가능성.
- 구글과는 다르게 네이버는 파비콘 반영이 느리며, 검색엔진에 직접 수집 요청하는 것이 빠른 반영 방법임.
- 단기간 반영 안 되더라도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함.
6. React OAuth Google 라이브러리 에러 메시지 관련 질문
- react-oauth/google 라이브러리 사용시 Cross-Origin-Opener-Policy policy would block the window.postMessage call. 에러가 두 번 찍히지만, 로그인 토큰은 정상적으로 전달됨.
- 질문: 에러 메시지를 무시해도 되는가?
- 답변:
- 토큰 전달이 성공한다면 메시지상 에러 무시는 가능.
- 다만 CORS 정책과 보안상 이슈가 있을 수 있어 정책 수정이나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검토 필요.
- 개발 환경 설정, origin 허용 여부 등을 꼼꼼히 체크할 것.
7. 투자와 재테크, 1억 모으기 계획
- 참가자 중 한 분은 4번째 1억 모으기 프로젝트 도전 중으로 목표 달성 후 부동산 경매 투자 계획.
- 재테크 팁:
- 토스 같은 앱을 활용해 자산 흐름 한 눈에 보기.
- 규칙적으로 적금 및 투자 진행.
- 빌라 및 재개발 지역 관심.
- 재테크도 개발과 마찬가지로 꾸준함과 전략이 중요함.
8. 개발자들의 근무 환경과 회식 문화
- 최근 회식이 없는 회사들이 많음.
- 회식 비소비적 경향에 대한 호불호 갈림.
- 회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음료(커피, 보리차 등) 부족에 대한 아쉬움 토로.
-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가끔 워크샵이나 회식을 원하는 의견도 있음.
9. HTTP 999 오류 전설과 유머
- ‘HTTP 999’ 오류는 공식 표준은 아니지만, 비공식적으로 서버에서 특정 요청을 차단할 때 사용한다는 이야기가 있음.
- 참가자들은 ‘전설의 오류’라며 웃음으로 승화.
- 이런 비공식 상태 코드는 주로 봇 차단 등 비표준 목적으로 사용됨.
10.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 framer motion과 뷰트랜지션 추천
- framer motion을 활용해 네이티브 앱 같은 페이지 전환 애니메이션 구현 가능.
- 이전 페이지 컴포넌트를 캐싱하는 방식 등 기술적 방법이 활용됨.
- 만약 대충해도 되는 상황이라면 뷰트랜지션 API 사용 권장.
- CSR(Client Side Rendering) 환경에서는 framer motion도 쉽고 효과적임.
- 단, 애니메이션 구현 시 번들 사이즈 증가에 유의.
면접팁⚡
-
코드 품질 면접 준비 시:
- 코드 길이보다는 추상화 수준과 가독성, 유지보수성에 대한 이해 강조하기.
- 파일 분리와 모듈화 전략을 설명하면서도 지나친 분할의 단점도 알기.
- 실제 유명 오픈소스 코드를 참고해 설계 사례를 이야기하면 좋음.
-
OAuth2와 CORS 관련 질문 대비:
- 교차 출처 정책(CORS)와 보안 이슈 이해 필수.
- 에러 메시지 뒤에 숨은 의미와 해결 방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Next.js 프로젝트 운영 경험 어필시:
- 파비콘 같은 기본 설정 이슈부터 캐싱, 검색엔진 반영 과정 등 실무 경험 담기.
링크🔗
- OAuth 2.1 공식 문서: https://oauth.net/2.1/
- 멍개님 블로그 (트랜스포머 모델, FSD 패턴 등 관련):
https://blog.naver.com/pjt3591oo/222693372349
https://blog.naver.com/pjt3591oo/223137573151
https://m.blog.naver.com/pjt3591oo/222210241412 - React reconciler 코드 참고: https://github.com/facebook/react/blob/main/packages/react-reconciler/src/ReactFiber.js
#피그마#코드리팩토링#Nextjs#OAuth2#재테크#프론트엔드#React#파비콘#잠깨기#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