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출근길과 일상 에피소드
- JavaScript 배열과 Falsy/Truthy 개념
- 개발자 커뮤니케이션과 업무 지시 관점
- 군 복무 및 예비군 관련 논의
- 런타임 타입 검증 라이브러리: Zod vs Yup
- 상태 관리 도구: XState 관련 이야기
- 게임과 취미 이야기
- 프론트엔드와 퍼블리셔 역할 구분
- 리액트 반응형 디자인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팁
- 개발자의 레퍼런스 체크와 면접 전형 이슈, 개발 환경과 협업 도구 이야기
Zod, #Yup, #XState, #React, #ResponsiveDesign, #개발자소통, #레퍼런스체크, #커서IDE
1. 출근길과 일상 에피소드
- 출근길 지하철에서 잠든 경험 공유
- 아침의 활기와 소소한 농담으로 분위기 전환
- 주중 피로와 예비군, 민방위 일정 언급하며 공감대 형성
2. JavaScript 배열과 Falsy/Truthy 개념
- if (!arr) 조건문에서 arr이 undefined, null 뿐 아니라 배열의 길이 0일 때도 해당되는지 질문
- 빈 배열 []는 Falsy가 아닌 Truthy 값임을 명확히 설명
- 예시: [] 자체는 true 취급되며, 길이(length)가 0인 것은 Falsy
- Falsy와 Truthy의 차이점
- Falsy: JavaScript에서 false, 0, "", null, undefined, NaN 등이 거짓으로 간주
- Truthy: 위외의 모든 값은 참으로 평가됨
- 메모리 측면에서 빈 배열 할당은 변수는 스택에, 배열 객체는 힙에 위치함을 언급
- 포인터 주소가 존재하는 개체는 대체로 Truthy로 평가됨
- 핵심 포인트: 직접 arr.length === 0으로 명확히 체크하는 것이 올바른 관행
3. 개발자 커뮤니케이션과 업무 지시 관점
- 경력자들이 주니어에게 업무 지시 시 개념에 대한 이해 강조
- 단순 암기보다 개념과 원리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소통에 도움 됨
- 비유: 젓가락질은 한 번 배우면 자연스레 체득하는 기술처럼, 개발 기본 개념도 내재화가 중요
- 마인드셋이 공부와 성장 기회를 좌우한다는 의견 공유
- 리더와 개발자 간 소통 방식에 정답은 없으며 상황과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 강조
4. 군 복무 및 예비군 관련 논의
- 예비군, 동원훈련 일정과 기간에 대한 경험담
- 2박 3일 출퇴근, 4일 출퇴근 등의 실제 스케줄 차이 소개
- 코로나19 영향으로 직접 참관이나 일정 변경 사례 공유
- 예비군가는 타이밍과 회사 일정 조율의 어려움 언급
5. 런타임 타입 검증 라이브러리: Zod vs Yup
- 타입스크립트 환경에서 데이터 검증 라이브러리 두 가지 비교
- Zod: 타입스크립트와 친화적이고 최근에 많이 사용됨
- Yup: 리액트 훅 폼(React Hook Form)에서 사용되는 예시가 많음
- 각 라이브러리의 장단점과 커뮤니티 반응이 레딧 등에서 공유됨
- 현업에서는 xstate와 조합하는 등 사례도 언급됨
- 선택 팁: 프로젝트 특성에 맞고 팀원 선호도 고려하여 결정
6. 상태 관리 도구: XState 관련 이야기
- 상태 머신(state machine) 구현과 시각화 도구의 편리함 강조
- XState 최신 버전과 타입스크립트 호환성 문제 존재
- TS4.x 버전 의존성으로 메이저 버전 업데이트 지연 사례 공유
- 직접 상태 머신 구현하는 방법도 패턴적으로 어렵지 않음 언급
7. 게임과 취미 이야기
- 콘솔 게임, 레트로 게임, 닌텐도 스위치, 플스 등 취미 생활 대화
- 스위치2 기대와 테그라칩 관련 구형 하드웨어 한계 토론
- 게임 종류별 연령대 커버 범위와 가족 단위 취미 제안
- 철권, 아스트로 봇, 겨울왕국, 스파이더맨 등 다양한 타이틀 언급
8. 프론트엔드와 퍼블리셔 역할 구분
-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퍼블리셔 역할 구분 여부 토론
- 프론트엔드 안에 퍼블리셔가 포함될 수 있으나, 퍼블리셔에 프론트엔드는 포함 어렵다는 견해
- 협업 시 역할 명확히 구분하는 편이 업무 효율에 유리함
9. 리액트 반응형 디자인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팁
- 반응형 UI 설계 시, 기본 브레이크포인트 기준 설명
- 모바일뷰는 보통 500px 이하로 보고, 그 이상 768px까지는 태블릿 혹은 중간 크기 뷰로 구분
- PC뷰는 768px 이상에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
- 디자인 및 기획자와 협의해 필요한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권장
- 참고 링크: Bootstrap Breakpoints
10. 개발자의 레퍼런스 체크와 면접 전형 이슈, 개발 환경과 협업 도구 이야기
- 레퍼런스 체크(Reference Check) 요청 빈도 및 절차 질의
- 1차 면접 후 레퍼 체크 후 2차 면접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이지는 않음
- 지원자는 요청 거절 가능, 불이익 미미한 편
- 개발자 간 코드 리뷰,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환경 제공 필요성 언급 (코드샌드박스 등)
- 커서(Cursor) IDE 소개 및 장단점 토론
- AI 지원 기능이 있으나 아직 무겁고 완벽하지 않아 VSCode 선호
- 라이브 코딩 시 커서 도구 사용 여부 유머 섞인 대화
면접팁⚡
- JavaScript에서 빈 배열은 Falsy가 아니라 Truthy이니 관련 질문 대비 필요
- 데이터 검증 라이브러리(Zod, Yup) 차이를 이해하고 선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할 것
- 레퍼런스 체크가 면접 전형 중간에도 진행될 수 있어 준비 필요
- 반응형 디자인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경험과 협업 사례 설명 가능하면 좋음
- 상태 관리 도구(XState 등) 사용 경험 및 타입스크립트 호환성 이슈에 관해 인지
링크🔗
#JavaScript#FalsyTruthy#Zod#Yup#XState#React#ResponsiveDesign#개발자소통#레퍼런스체크#커서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