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썸네일react

2024-10-20

목차

  1. 20만원 이하 선물 아이디어
  2. AI 개발자 양성 과정 및 국비교육 관련 이야기
  3. React StrictMode와 useEffect 관련 심화 토론
  4. 쿠키 관련 궁금증과 농담
  5. 일상과 업무 이야기—졸업작품, API 이슈, 백엔드 협업
  6. MBTI와 개인 성향 이야기
  7. 캠핑과 야외 활동 경험 공유
  8. 라면 조합과 간단 음식 레시피
  9. 출근 첫날과 스타트업 분위기
  10. 코드 리팩토링, 명세서 문제 및 협업 경험

1. 20만원 이하 선물 아이디어 🎁

  • 20만원 이하 선물로는 단일 혹은 2~3개 조합 가능.
  • 대상에 따라 선물이 달라짐 (나이, 성별, 직업 등 중요).
  • 추천 선물: 롯데/신세계/현대 10만원권 상품권, 인텔리제이 또는 어도비 라이선스(실용성 높음).
  • 개발자라면 실무에 도움이 되는 소프트웨어 상품권이나 라이선스 선물 추천.
  • 비싼 레스토랑 식사권도 고려됨.

2. AI 개발자 양성 과정 및 국비교육 관련 이야기 🤖

  • ESTsoft가 온라인 AI 모델 개발자 양성과정 모집 중.
  • 커리큘럼: 파이썬 기초, 데이터 마이닝, 크롤링, AI 모델링, 심화 프로젝트 등 포함.
  • 자격요건: 국민내일배움카드 보유자 대상으로 진행.
  • 수료 후 이스트소프트 인턴십 및 채용 연계 가능.
  • AI 개발자 되려면 보통 최소 석사 이상 학력이 요구됨.
  • 국비교육만으로 AI 개발자 되기엔 어려움 있으나, 의지와 계획 있다면 가능성 있음.
  • 석사나 대학원 과정 병행 시 AI 분야 진입에 유리.

3. React StrictMode와 useEffect 관련 심화 토론 ⚛️

  • React StrictMode는 디버깅 도구로, 개발 모드에서 컴포넌트를 2번 렌더링해 부작용 찾아냄.
  • useEffect 훅도 StrictMode에서는 2회 실행(클린업을 점검하기 위함).
  • React 컴포넌트는 상태와 props로 렌더링하며 직접 변경하지 않으므로 '순수 함수'라고 부름.
  • useEffect는 부작용(side effects)을 다루는 훅으로, 순수 함수와는 별개임.
  • useEffectEvent는 아직 experimental(실험적) 기능으로 최신 React 버전(19버전 예정)에서 도입 예정.
  • 현재 18버전에서는 useCallback 및 의존성 배열로 대체 가능하지만 정확히 같진 않음.
  • useEffect 내 최신 함수 참조를 위해 useCallbackRef 같은 커스텀 훅을 사용 가능.

4. 쿠키 관련 궁금증과 농담 🍪

  • 질문: 인터넷에서 먹는 쿠키와 웹 쿠키 개념이 헷갈림.
  • '쿠키'는 웹에서 사용자의 식별 및 세션 관리를 위한 작은 데이터 조각.
  • HTTP Only 쿠키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접근 불가, 보안 향상 목적.
  • 인터넷 주문 쿠키는 실제 과자 제품이며, 웹 쿠키와 완전히 다른 개념임.
  • 재미있는 드립과 소통으로 분위기 활성화함.

5. 일상과 업무 이야기 — 졸업작품, API 이슈, 백엔드 협업 💻

  • API 호출이 안 되는 문제로 고생 중, 프론트와 백엔드 간 협업 상황 공유.
  • 백엔드 스키마 정의가 없어서 데이터 구조가 들쭉날쭉해 작업 힘듦.
  • 명세서 부재가 개발 난항의 주된 원인으로, 타입 정의와 스키마 작성의 중요성 강조.
  • PR(풀 리퀘스트) 절차를 통해 코드 리뷰 진행 중, 혼자 PR 작성 중인 상황.
  • 협업시 좋은 관계 유지하며 문제 해결 노력하는 모습.
  • 졸업작품 프로젝트 발표 준비 중인 개발자들의 현실과 고충 공유.

6. MBTI와 개인 성향 이야기 🧠

  • INTJ, ISTP 등 MBTI 유형에 관한 농담과 개인 경험 토론.
  • 사람을 MBTI로만 판단하는 것에 대한 우려와 부정적 측면 언급.
  • 문신에 관한 개인적 가치관과 편견 토론, 특히 커플 문신, 지우는 문제 등.
  • 성격과 행동은 고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인정.
  • MBTI 성격 유형은 상대를 이해하는 도구일 뿐 절대적인 판단 기준은 아님.

7. 캠핑과 야외 활동 경험 공유 🌄

  • 캠핑장에서 겪는 불편한 경험과 즐거운 추억 이야기.
  • 전기장판, 샤워실 등 캠핑장 편의시설 중요성 강조.
  • 노지 캠핑 도전의 어려움과 낭만, 마시멜로 구워 먹는 즐거움 공유.
  • 인류애와 사회적 스트레스를 야외활동 중 겪는 경험 에피소드.
  • 캠핑 관련 초보자의 고민과 팁도 언급됨.

8. 라면 조합과 간단 음식 레시피 🍜

  • 짜파게티와 신라면을 섞어 만든 '짜파구리' 조합 레시피 소개.
  • 라면은 간단하게 본인의 입맛에 맞게 즐기는 것이 최고라는 의견.
  • 라면과 다른 음식(김밥, 감자탕, 백숙 등)의 조합 경험담.
  • 맛 저녁 인사와 함께 간단 요리 경험 공유.

9. 출근 첫날과 스타트업 분위기 🚀

  • 첫 출근이 10시라 신기해하는 신입 개발자의 설렘.
  • 회사 규모나 문화 따라 첫날 경험 차이가 큼.
  • 스타트업은 규모가 다양하고 빠른 성과 요구가 많음.
  • 첫날 MacBook 지급, 세팅, 인사, 코드 리뷰 등 정신 없는 일정 예상.
  • 개인 노트북 지참 여부는 회사 상황에 따라 다름.

10. 코드 리팩토링, 명세서 문제 및 협업 경험 🛠️

  • 복잡한 리액트 코드 리팩토링 중, 단순하고 가독성 좋은 코드의 중요성 공감.
  • 명확한 API 명세서와 타입스크립트 정의가 없는 상황에서 고충 큼.
  • 그래도 꾸역꾸역 맞게 만들어 놓은 코드에 위안을 느낌.
  • 협업에서 원활한 소통과 문제 해결이 가장 중요.
  • PR과 코드 리뷰 문화가 발전할수록 개발 품질 향상 기대.

면접팁⚡

  • React StrictMode 작동 원리와 useEffect 훅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할 것.
  • AI 관련 교육이나 커리큘럼을 언급하며 본인의 학습 의지 어필 가능.
  • 협업 시 API 명세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명세서 없이 협업할 때의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사례 준비.
  • MBTI와 성격 유형 질문에서 개인차 인정하며, MBTI는 상대방 이해를 돕는 도구임을 강조하기.
  • 스타트업 첫 출근에 관한 실무 경험 짧게 언급 (온보딩, 급변하는 환경 적응력).

링크🔗

#개발자회화#React#AI개발#프론트엔드#일상#협업#스타트업#코드리뷰#MBTI#캠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