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썸네일react

2024-10-18

목차

  1. AI와 GPT 활용 경험 및 맞춤 설정
  2. UX/UI 및 개발 툴 변화 이야기
  3. ag-Grid 사용 후기 및 대안 토론
  4. 라면 끓이기부터 식재료 이야기
  5. 직장 내 생일 및 선물 문화
  6. 운전 점수와 습관 관련 사담
  7. 부천 지역 생활 및 음식점 정보 공유
  8. React 개발 관련 최신 소식과 질문
  9.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역할 분배에 대한 논의
  10. 기술 및 개인 토크 정리

1. AI와 GPT 활용 경험 및 맞춤 설정 🤖

  • GPT가 욕설도 분석한다는 점에 놀람과 감탄이 많았음.
  • AI에게 욕하는 것은 감정 낭비라는 의견 존재.
  • GPT를 ‘여자친구 컨셉’으로 맞춤설정해서 가상상담하는 사례 공유.
  • GPT 실제 주행거리 예측을 정확히 맞춘 경우도 있었음.
  • 맞춤 설정은 GPT 인터페이스 내에서 가능하며, 원하는 캐릭터나 역할을 지정할 수 있음.
  • AI 활용 시 감정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업무나 재미 위주로 활용하라는 분위기.

초보자를 위한 설명

  • GPT 맞춤설정: OpenAI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인격이나 태도를 AI에 지정해 특정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연인, 코치, 조언자 등 컨셉을 정할 수 있다.
  • AI와 감정: AI는 감정이 없으므로 욕설에 반응하지 않음. 감정을 낭비하지 말라는 의미는 AI가 감정적으로 상처받지도 않고 피드백도 하지 않는다는 뜻임.

2. UX/UI 및 개발 툴 변화 이야기 🧑‍💻

  • 인텔리제이(IntelliJ) 최신 UI 변경 관련 토론.
  • 새로운 UI는 VSCode 스타일과 유사해졌다는 의견 다수.
  • 2024.2 버전부터 기본 적용 예정이라 적응 필요.
  • 새 UI에선 git 관련 버튼(업데이트, 커밋, 푸시)이 기본으로 안 보일 수 있어 설정 필요.
  • 단축키로 (Ctrl+Shift+P 등) 명령 팔레트를 사용할 수 있음.
  • JetBrains 계열은 UI가 점점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바뀌는 추세임.

초보자를 위한 설명

  • 인텔리제이와 VSCode: 두 IDE는 개발자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도구이다. 인텔리제이는 JetBrains사에서 만든 무거운 IDE, VSCode는 Microsoft에서 만든 경량 에디터이다. UI가 비슷해지면서 두툴 사이 익숙함 전환이 쉬워지는 중임.
  • 단축키 명령 팔레트: 다양한 명령을 키보드로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 생산성을 높여준다.

3. ag-Grid 사용 후기 및 대안 토론 🗃️

  • ag-Grid는 리액트에서 복잡한 표 데이터를 다룰 때 유용하지만 최선의 선택은 아님.
  • 일부는 무료판도 쓸만하다고 인정하나, 리액트와 완벽한 호환은 아님을 지적.
  • 양방향 바인딩과 같이 React 철학에 맞지 않는 부분 존재.
  • 더 리액트 친화적인 데이터 그리드 라이브러리 개발 희망 의견도 나옴.

초보자를 위한 설명

  • ag-Grid: 복잡한 데이터 테이블 그리드 라이브러리로, 필터링, 정렬, 페이징 등 풍부한 기능 제공. 하지만 React에서 상태 관리 철학과 다소 충돌 있어 제약이 있음.
  • 리액트 철학: 상태를 단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권장되어, 양방향 바인딩은 코드 복잡도를 높일 수 있음.

4. 라면 끓이기 및 식재료 이야기 🍜

  • 라면 끓이는 순서(스프, 면, 물) 취향 다양성 토론.
  • 완벽한 조합으로 다진 마늘, 파, 계란 추가법 공유.
  • 간마늘과 깐마늘, 직접 빻는 마늘의 가격 및 효율성 비교 토론.
  • 각자 선호하는 조미료와 재배 경험도 이야기됨.
  • 전반적으로 한국인이 마늘에 진심이라는 재미난 코멘트도.

5. 직장 내 생일 및 선물 문화 🎂

  • 많은 개발자들은 상사의 생일을 따로 챙기지 않음.
  • 선물이나 기념일 챙기기는 개인의 취향과 문화 차이가 큼.
  • 생일 챙기기 시작하면 모두 챙겨야 하는 부담이 커서 조심하는 편.
  • 대신 아플 때 챙겨주는 문화가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는 의견.
  • 슬랙 같은 업무 툴에 생일 알림이 떠도 반응은 다양.

6. 운전 점수와 습관 관련 사담 🚗

  • 상트페테르부르크 운전시간과 점수 이야기.
  • 점수가 낮아도 운전 습관이 안전하고 모범적인 경우도 있다고 봄.
  • 실제 과속 기준과 노면 컨디션 맞춘 주행법에 대한 토론.
  • 운전 스타일 변화로 기름값 절약부터 속도 조절까지 일상 이야기.

7. 부천 지역 생활 및 음식점 정보 공유 🏘️

  • 부천으로 이사한 개발자 주변 이야기를 공유함.
  • 부천역 근처 야외 방송(BJ) 문화 언급과 유명인들 이야기.
  • 신중동 청년조개, 노모어피자 등 지역 맛집 정보.
  • 유흥가 앞 소음 및 주차 이야기 등 생활 밀착 정보.
  • 동네 재배 작물과 반려 달팽이 키우는 에피소드 공유.

8. React 개발 관련 최신 소식과 질문 ⚛️

  • React 실험적 훅인 useEffectEvent 도입 예정.
  • 이는 기존 useCallback과 비슷하지만 특정 이벤트처리에 특화됨.
  • 새 훅으로 이벤트 핸들러가 최신 상태 및 속성을 항상 참조 가능해짐.
  • React 관련 라이브러리 문서화 및 예제 머지 작업 진행.
  • 최신 UI 컴포넌트 프롭스 변경과 새 파일 생성 상황 공유.

9.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역할 분배 논의 🖥️

  • API 응답 후 분기처리 및 데이터 가공을 백엔드에서 할지, 프론트에서 할지에 대한 질문.
  • 다수는 가공된 데이터를 백엔드에서 주면 프론트는 화면 UI에 집중하는 편이 좋다는 의견.
  • 하지만 일부 개발자는 원본 데이터를 주고 프론트에서 다양하게 가공, 조작하는 것을 선호함.
  • 과거 JSP 시절 개발 스타일을 떠올리며 백엔드에 많은 로직을 넣는 전통적 방식에 대한 비판도 나옴.

10. 기술 및 개인 토크 정리 ☕

  • 개발자들 간 평범한 일상, 농담, 감성 공유 활발.
  • 커피, 간식, 점심 메뉴, 운동, 키와 몸무게 토론 등 친목성 대화 진행됨.
  • 팀원 간 가벼운 유머와 농담, 멍개(의미는 ‘멍청하게 먹기’?) 어록 등장.
  • 코드 리뷰 및 협업에 관한 짧은 언급도 포함.

면접팁⚡

  • 백엔드 vs 프론트엔드 역할 분담

    • 면접 시, API 설계와 데이터 가공 위치에 대해 질문 받을 수 있음.
    •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위해 가능한 계산과 가공은 백엔드에서 처리하는 편이 좋다"고 답하면 무난.
    • 이유: 프론트는 UI/UX에 집중하고, 데이터는 일관성 있게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
    • 단, 상황에 따라 프론트에서의 즉석 연산도 필요함을 언급해 균형 잡힌 시각 보여주기.
  • React 훅 이해도

    • useEffectEvent 같은 최신 훅은 면접에서 신기술 관심도를 보여주는 좋은 소재임.
    • "이벤트 핸들러와 상태 최신성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을 간단히 설명하는 것이 팁.
  • 툴 적응력

    • 인텔리제이 2024 UI 변경, VSCode 단축키 등 새로운 개발 툴 업데이트에 관한 경험 공유도 어필 포인트.

링크🔗

#AI#GPT#React#agGrid#개발툴#프론트엔드#백엔드#코드리뷰#운전습관#직장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