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GraphQL과 REST API 논의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 Redux Toolkit과 Zustand
- 백엔드 &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GraphQL 의견
- 문서화 및 오픈소스 기여 중요성
- React State 관리: useState vs useSignal
- 스타트업 투자와 기술 스택 고민
- 모노레포 개념과 실무 적용
- 개발 경력 산정과 면접 관련 조언
- 차세대 개발 트렌드 및 코딩 문제 언급
- 연봉, 커리어 고민과 마인드셋 조언
1. GraphQL과 REST API 논의 🧩
- GraphQL은 쿼리 언어이자 API 통신 방식으로,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만 요청해 효율적임.
- REST API가 여전히 대다수의 회사에서 사용 중이며, GraphQL 도입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음.
- GraphQL을 배우려는 목적이 취업 목표에 부합한다면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이 도움됨.
- GraphQL 사용 시 백엔드 작업이 많아 부담스럽다는 의견도 존재.
- 프론트엔드 입장에서는 데이터 요청을 유연하게 할 수 있어 매력적이라는 평가가 많음.
설명 보충:
GraphQL은 REST와 다르게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요청으로 받거나 필요한 필드만 선택 가능해 클라이언트 측의 처리 편리성을 높임.
하지만 서버에서는 쿼리 해석, 권한 처리, 최적화 등 복잡도가 올라가 일부 백엔드 개발자는 꺼려하는 경우도 있음.
2.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 Redux Toolkit과 Zustand 🎛️
- Redux Toolkit은 Redux를 더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해 주는 공식 툴킷으로,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
- Zustand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간단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음.
- 취업 준비나 이직 시, Redux Toolkit을 잘 다룰 줄 알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는 프로젝트 특성과 팀 상황에 맞춰 선택하는 게 중요.
3. 백엔드 &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GraphQL 의견 ⚖️
-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은 GraphQL의 데이터 요청 유연성과 사용 편리성에 매력을 느낌.
- 반대로 백엔드에서는 GraphQL 스키마 설계, 권한 처리, 리졸버 구현 등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경우 있음.
-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모두 고통스러워진다”는 극단적 의견도 등장.
- 결국 개발자의 취향과 프로젝트 환경에 따라 선호도가 갈린다는 점 강조.
4. 문서화 및 오픈소스 기여 중요성 📚
- 개발 질문 중 다수는 공식 문서에서 쉽게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경험 공유.
- “공식 문서를 읽고 이해하는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
-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 경험은 개발자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이 됨.
- 오버레이킷과 스택오버플로우 문서 업데이트 프로젝트 등 활발한 문서화 활동 진행 중.
5. React State 관리: useState vs useSignal ⚛️
- React의 기본 상태 관리 훅(useState)과 최신 패턴 중 하나인 useSignal 논의.
- Signal은 상태 변경 감지 및 업데이트 방식을 개선해 성능 향상 가능성 탐색 중.
- 각 방식마다 장단점과 트레이드오프가 있어 프로젝트 상황에 맞춰 선택 필요.
- 관련 정보가 적어 직접 구현 코드를 들여다보는 방법도 추천됨.
초보자 설명:
useState는 React에서 가장 기본적인 상태 관리 방법입니다.
useSignal은 변경 감지를 더 효율적으로 해 리렌더링 최적화에 도움 되는 최신 개념입니다.
6. 스타트업 투자 및 기술 스택 고민 💡
- 45억 원 대규모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과 기대감.
- 기술적으로는 VitePress 대신 Nextra와의 연동 고려, 앱 라우터 지원 소식 공유.
- SWR과 React Query(rq) 비교 논의: 둘 다 React에서 데이터 패칭 라이브러리로 각기 장단점 존재.
- 실제 프로젝트에 맞춰 적절한 라이브러리 선택 중요.
7. 모노레포 개념과 실무 적용 🗂️
- 모노레포는 여러 프로젝트를 하나의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구조.
- 도구로는 pnpm, lerna, npm workspace, yarn berry, nx 등이 있음.
- 실무에서는 사용자 앱(next.js), 백오피스(vite-react-ts)처럼 분리하면서도 관리하는 형태가 많음.
- 간단하게 시작하려면 템플릿을 가져와 프로젝트 폴더에 새 앱을 추가하는 방식을 추천.
초보자 설명:
모노레포란 여러 앱이나 라이브러리를 하나의 리포지토리로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공통 코드 공유, 빌드 관리, 버전 통제가 용이해집니다.
8. 개발 경력 산정과 면접 관련 조언 🎯
- 경력 산정 시 총 근무 기간과 휴식기 포함 여부에 대해 질문.
- 보통 실제 근무한 기간만 경력으로 인정하므로, 1년 6개월 일했다면 2년 차 정도로 볼 수 있음.
- 쉬는 동안 개발 관련 알바나 활동을 했으면 경력으로 포함 가능.
- 면접 시 레퍼런스 체크가 엄격해 진화하는 추세.
- 자신감과 겸손의 균형 잡힌 마인드셋 중요.
9. 차세대 개발 트렌드 및 코딩 문제 언급 🧠
- 코딩 문제(계단 오르기 문제 - 백준 2579번)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백트래킹 관련 언급.
- 개발자는 알고리즘 문제를 꾸준히 풀면서 논리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이 좋음.
- 추운 날씨, 콜드 스타트 문제(시스템 최초 기동 시 느린 초기 상태)를 재미있게 비유한 대화도 등장.
10. 연봉, 커리어 고민과 마인드셋 조언 💼
- 경력 3년차 이직 시 연봉 6,000만 원 수준에 대한 부담감 공유.
- 같은 포지션에서 높은 연봉 제안은 실력 인정이나 책임감 증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음.
- 회사가 연봉을 주는 이유는 ‘실력이 있다’는 것에 기반한다고 자존감 갖는 것이 중요.
- 아시아권 개발자들은 상대적으로 겸손한 문화가 많고, 서구권은 자신감을 과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음.
- "날 뽑은 사람이 책임진다"라는 자세로 건강하게 자기 역할을 해 나가자는 긍정적 태도 강조.
면접팁⚡
- GraphQL과 REST API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특정 회사 목표에 맞춰 공부할 것.
- Redux Toolkit과 Zustand 등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본 경험을 말할 수 있도록 준비.
- 모노레포 사용 경험 및 개념 설명 준비하면 풀스택 또는 대규모 프로젝트 대응 능력 부각 가능.
- 경력 산정 관련 질문에 대비해 휴식기 포함 여부 및 활동 내역을 명확히 정리할 것.
- 자신감과 겸손의 균형 잡힌 태도를 가지며, 연봉 요구와 역할에 대한 기대 조율을 명확히 할 것.
링크🔗
- Nextra GitHub: https://github.com/shuding/nextra/issues/2023
- PMF 관련 블로그
- 백준 알고리즘 문제(계단 오르기 2579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579
#GraphQL#RESTAPI#ReduxToolkit#상태관리#모노레포#React#스타트업#기술면접#개발문서#개발자마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