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GitHub 2FA 의무화 및 인증 방식
- 재택근무 vs 카페 업무 환경
- 스타트업 vs 대기업 이직 고민
- Next.js vs Vite, 프론트엔드 기술 트렌드
- AWS 배포 파이프라인 및 코드디플로이 최적화
- React Dialog 컴포넌트 사용 팁
- 타입스크립트+React 타입 오류 해결
- 테일윈드CSS 활용과 클래스 관리
- AI 개발도구 및 코딩 보조툴 체험기
- 채용 소식 및 개발자 커뮤니티 분위기
1. GitHub 2FA 의무화 및 인증 방식 🔐
- GitHub에서는 2024년 11월 5일까지 2단계 인증(2FA) 활성화를 의무화함.
- 2FA 인증 방법으로는 TOTP 앱(구글 인증기 등), SMS 메시지, 패스키, GitHub 모바일 앱 등이 제공됨.
- SMS는 보조 수단이며, TOTP 앱이 주 인증 수단임.
- 2FA 미설정 시 GitHub 접근이 제한되어 협업과 코드 기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보안 강화를 위해 꼭 설정할 것을 권장.
2FA(2단계 인증)
2FA는 추가 보안 계층으로, 비밀번호 외에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생성되는 일회용 코드를 요구하여 부정 로그인 위험을 줄임.
2. 재택근무 vs 카페 업무 환경 ☕🏠
- 듀얼 모니터를 활용한 집에서의 업무는 작업 효율성이 가장 높음.
- 반면 카페 같은 외부 환경은 환기와 분위기 전환에 좋고 집중력을 올려줄 수 있음.
- 사이드카(아이패드 등 듀얼 스크린 활용)도 시도 중이며, 공간과 환경에 따라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음.
- 최적의 업무 환경은 개인 성향과 상황에 따라 달라서, 기능적 효율성과 환경적 쾌적함 사이 균형이 필요.
사이드카
Mac OS의 '사이드카' 기능은 iPad를 Mac의 두 번째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게 해 업무 공간 확장에 도움을 줌.
3. 스타트업 vs 대기업 이직 고민 💼
- 스타트업은 업무 강도가 세고 불확실성이 높지만 빠른 성장과 다양한 경험 가능.
- 대기업은 안정적이고 대체로 급여 체계가 명확하나 성장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음.
- 시드 투자를 많이 받은 초기 스타트업이라면 재정적 안정성은 다소 있으나 여전히 위험 요소 존재.
- 보통 이직 시 3개월 이상 근무를 추천받으며, 최근에는 2년치 급여명세서나 원천징수 증빙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
- 커리어 방향과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므로, 현재 만족도와 장기 목표를 명확히 하고 판단할 것.
4. Next.js vs Vite 등 프론트엔드 기술 트렌드 ⚛️
- Next.js는 SSR(서버사이드 렌더링)과 정적사이트 생성 기능 지원으로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
- Vite는 빠른 개발서버 및 번들러 성능으로 더 신속한 개발에 장점이 있음.
- 두 기술을 목적과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선택하는게 중요하며, 직접적인 비교는 의미가 크지 않음.
- PHP + jQuery를 선호하는 전통적인 환경도 여전히 널리 사용됨.
- React와 관련해 CRA(Create React App)와 Next.js 둘 중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분위기.
5. AWS 배포 파이프라인 최적화 및 코드디플로이 이야기 ☁️
- AWS CodeDeploy는 ECS Fargate 배포 시 비교적 느리게 동작해 6~12분 이상 걸리는 경우가 많음.
- 빌드 시간 자체는 빠르나, 배포 및 헬스체크 과정에서 병목 현상 발생 가능.
- 코드빌드와 파이프라인을 나누고 ECR(ECS 컨테이너 이미지 저장소)로 분리하면 효율적 관리가 가능.
- 이벤트브릿지(EventBridge)를 활용해 슬랙 알림 등 자동화 알림 시스템 구성도 권장됨.
- CircleCI 같은 서드파티 CI/CD 도구로 전환하는 회사도 늘고 있음.
6. React Dialog 컴포넌트 사용 팁 💬
- shadcn/ui, Radix UI 같은 라이브러리 사용 시 <Dialog open={true}>와 같은 직접 개폐 제어 방법 권장.
- 트리거 기반 show/hide는 JS 직접 제어가 어려울 수 있음.
- 첫 번째 방식({open && <Dialog />})은 닫힐 때 애니메이션이 제대로 안 나오는 단점이 있음.
- Dialog 내부 폼 초기화는 컴포넌트 언마운트/마운트 시 자동 초기화되나, 필요시 개별 초기화 로직 추가 가능.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또는 'overlay-kit'처럼 검증된 툴 활용 권장.
7. TypeScript + React 타입 오류 해결법 🛠️
- React 타입 선언에서 갑자기 타입이 인식되지 않는 이슈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음:
- TS 버전 불일치 (VScode가 바라보는 TS 버전 확인)
- 워크스페이스 설정 문제
- 의존성 문제(npm i 재설치 후 해결 사례 다수)
- TS 사용 시 오타나 타입 누락에 주의 필요하며, 문제 발생 시 서버 재시작 또는 타입 재설정 권장.
- React 타입 정의는 자주 업데이트되고 BC(Breaking Change)가 있으므로 주기적 확인 필요.
8. 테일윈드 CSS 활용과 클래스명 관리 🎨
- 테일윈드는 유틸리티 클래스 기반 CSS 라이브러리로 빠른 스타일링에 유리함.
- 매우 긴 클래스 리스트가 생기기 쉬워 clsx, tw-merge, cn 같은 클래스명 병합/조건부 관리 도구를 함께 사용.
- 테일윈드는 기본적으로 CSS-in-JS 방식이 아니며, JS 안에서 CSS 효과를 주지는 않음.
- 클래스명 관리 도구를 쓰면 중복 제거, 조건부 적용 등이 편리해져 유지보수 향상 가능.
9. AI 개발 도구 및 코딩 보조툴 체험기 🤖
- GitHub Copilot과 유사하거나 이를 보완하는 AI 기반 코딩 도움 툴로 'Cursor' 소개.
- Cursor는 프로젝트 단위 코드를 이해하며, 코딩 보조가 더 정교하고 빠르다는 평가.
- VSCode 기반으로 설정과 익스텐션 연동이 가능해 기존 워크플로우에 쉽게 통합됨.
- AI가 코드 구조나 UI 디자인 요소까지 일부 자동 생성해주면서 생산성 크게 향상.
- 다만 완전한 대체는 아니고 개발 보조 용도로 활용.
10. 채용 소식 및 개발자 커뮤니티 분위기 💬
- 카카오 모빌리티 등 대형 IT기업에서 주니어 개발자 채용 진행 중, 경력직 이직도 다수 발생.
- 스타트업은 초기 투자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고, 연봉과 근무 환경에서 고민 많음.
- 재택근무가 없는 회사들도 꽤 많아 출근 환경도 고려 대상.
- 개발 환경에서 소소한 농담과 경험 공유가 활발하며, 커뮤니티 내에서 서로 격려하는 분위기.
면접팁⚡
- 이직 시 연봉 재협상은 근무 3개월 이상 체류 후 하는 것이 인정받기 좋음.
- 스타트업 경력은 빠른 성장과 다양한 업무 경험을 쌓기에 유리하나, 커리어에 부정적 영향이 아니려면 프로젝트 성과를 분명히 해야 함.
- 대기업 면접 준비 시 기술 스택과 회사 문화 이해가 중요하며, 코딩 테스트 준비도 필수.
- AI 보조 코딩 도구 활용법을 미리 익혀 면접 시 최신 트렌드에 대해 어필 가능.
링크🔗
- GitHub 2FA 안내: https://github.blog/2023-06-early-access-to-required-two-factor-authentication/
- 스타트업 기술 연봉 고민 토론: https://toss.tech/article/frontend-diving-club
- shadcn UI Dialog docs: https://ui.shadcn.com/docs/components/dialog
- Radix UI Dialog docs: https://www.radix-ui.com/primitives/docs/components/dialog#api-reference
- overlay-kit UI 라이브러리: https://overlay-kit.slash.page/ko/introduction.html
- user-agents npm: https://www.npmjs.com/package/user-agents
- 피그마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c6yCZecrMpQ
- Daishi Kato 핵다이어리: https://daishi.gumroad.com/
#GitHub#2FA#재택근무#스타트업#대기업#Nextjs#AWS#React#TypeScript#테일윈드CSS#AI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