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썸네일react

2024-07-09

목차

  1. 개발자 일상과 취업 이야기
  2. React Query vs SWR 서버 상태 관리
  3. 면접 라이브 코딩과 코딩 테스트 이야기
  4. 이직과 반차 신청 팁
  5. React Query Suspense 옵션 활용과 이해
  6. ORM 도구 종류와 선택 기준
  7. React와 Vue 개발 경험 공유
  8. 일본에서의 개발과 생활 문화 경험
  9. 프로젝트 홍보와 개발자 커뮤니티 활용
  10. 테스트 코드 작성과 개발 태도

1. 개발자 일상과 취업 이야기

  • 사업 준비와 취업 준비 중인 개발자들의 대화가 자주 등장.
  • 부상으로 인해 출근이 어려운 상황과 재택근무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많음.
  • 대기업 및 스타트업 취업 희망자가 많고, 대부분 이직을 자주 하는 현실을 공감.
  • 업무 환경과 애사심 감소 추세로 인해 생존과 성장에 집중하는 분위기.

2. React Query vs SWR 서버 상태 관리

  • 서버 상태 관리 도구로 React Query와 SWR 비교 질문 잦음.
  • React Query는 더 정교한 제어를 제공하며, SWR은 최근 인기도가 상승함.
  • React Query란?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간 데이터 동기화를 쉽게 해주고, 캐싱, 리페칭 등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 SWR도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단순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장점으로 둠.
  • 선택 팁: 프로젝트 요구사항과 선호하는 API 스타일에 따라 다름.

3. 면접 라이브 코딩과 코딩 테스트 이야기

  • 최근 면접에서 라이브 코딩과 코딩 테스트를 보는 회사가 늘었음.
  • 라이브 코딩은 구현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현장 코딩 방식.
  • 코딩 테스트는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 문제를 풀도록 요구하는 사전 평가.
  • 경험자들은 코딩 테스트 문제 유형이 크게 변하지 않고 반복된다고 함.
  • GPT 같은 AI 도구 사용에 대한 웃픈 대화도 있었음.
  • 팁: 꾸준한 문제 풀이와 프로젝트 경험이 중요.

4. 이직과 반차 신청 팁

  • 반차 사유로는 ‘병원 진료’, ‘개인 사정’, ‘면접’ 등이 일반적이며, 진짜 이유를 말하기도 함.
  • 회사마다 반차 사유를 묻는지 여부는 달라서 상황별로 대응 필요.
  • 입사 초기부터 이직 계획을 가지고 다니는 사례도 흔함.
  • 이직 텀 평균은 1년 정도가 흔함.
  • 거리와 근무 환경, 급여 등 여러 요소로 인해 이직 고려함.

5. React Query Suspense 옵션 활용과 이해

  • React Query의 suspense 옵션은 서버 상태 관리시 optimistic fetching과 UI 대기 상태 처리를 위함.
  • Suspense란 React에서 비동기 작업 중 로딩 UI 대체를 쉽게 처리하는 기능임.
  • useQuery 함수에 enabled 옵션을 활용해 쿼리 실행 여부를 제어 가능.
  • Suspense 옵션 사용 시 enabled가 무시되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조합해야 함.
  • 초보자는 Suspense와 Error Boundary 개념부터 이해하는 것이 중요.
  • Tanstack Query(React Query의 새 명칭)와 useSuspenseQuery에 대한 혼란 해결 필요.
  • Redux, Relay 등과의 차이도 공부하면 이해 도움.

6. ORM 도구 종류와 선택 기준

  • 대표적인 Node.js ORM: TypeORM, Prisma, Sequelize, Drizzle 등 다양함.
  •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이란? 데이터베이스를 객체 지향적으로 쉽게 다루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 각 ORM마다 사용 편의성, 성능, 커뮤니티 지원 차이가 존재.
  • 초보자라면 npm trends 등을 참고해 인기 있는 ORM 선택 권장.
  • ORM 공식 문서와 예제 코드 숙지가 가장 기본임.

7. React와 Vue 개발 경험 공유

  • Vue는 옵저빙 기능 덕분에 상태 관리가 간단하다는 평.
  • React는 대기업과 스타트업 모두에서 표준처럼 쓰임.
  • 일부 개발자는 백엔드 개발자 출신으로 React 경험이 부족해 차근차근 배워야 하는 경우도 많음.
  • 학교와 독학으로만 개발 공부하는 신입 개발자도 많다고 함.
  • 프론트엔드 직무 지원 시 React 경험은 필수인 분위기.

8. 일본에서의 개발과 생활 문화 경험

  • 일본에서 근무 및 생활 경험을 공유하며 현지화된 음식과 문화 차이를 이야기함.
  • 일본 편의점 음식이 의외로 맛있다는 평.
  • 현지에서 한국 음식 간판을 보면 안도감과 행복감이 있다는 일화.
  • 일본어는 업무에서 메일 정도만 쓰는 경우가 많아, 실무 일본어 능력과 실제 대화는 다름.
  • 현지 문화 적응과 업무 커뮤니케이션 경험 공유가 유익함.

9. 프로젝트 홍보와 개발자 커뮤니티 활용

  • 커뮤니티 내에서 프로젝트 홍보 허락 요청과 진행 사례 공유.
  • 상업적 목적이 아니라면 자유롭게 홍보 가능.
  • 베타 테스트 중인 프로젝트 피드백 수집을 위해 구글 폼 링크 공유 및 의견 요청.
  • 개발자들 간 피드백 문화 활성화 중요성 강조.
  •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설문 작성 팁도 논의됨.

10. 테스트 코드 작성과 개발 태도

  • 테스트 코드 작성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님을 강조.
  • 자동화된 테스트는 버그 예방 및 유지보수에 큰 도움을 줌.
  • 반면 테스트 작성 자체에 대해 어려움을 토로하는 개발자도 있음.
  • 꾸준한 테스트 작성 습관이 현명한 개발자의 길로 연결됨.

면접팁⚡

  • 라이브 코딩과 코딩 테스트는 꾸준한 연습과 알고리즘 이해가 필수임.
  • 면접 반차 사유는 ‘병원 진료’, ‘개인 사정’ 등이 무난하며 너무 구체적일 필요는 없음.
  • 재택근무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면접 시 솔직하게 의사 표현하는 것이 좋음.
  • 첫 직장에서의 애사심 문제보다 자신의 성장과 커리어를 우선시하는 태도가 중요함.
  • 프로젝트 경험 없이 라이브 코딩 준비는 어려우므로, 간단한 기능 개발 경험을 많이 쌓는 게 유리함.

링크🔗

#ReactQuery#SWR#라이브코딩#코딩테스트#이직#ORM#React#Vue#프론트엔드#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