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스타트업 투자 유치와 현실적인 조언
- Next.js와 Server Actions 개념 정리
- Next.js의 SSR과 API 서버 분리 이슈
- Next.js 14의 새로운 기능과 라우팅 변경 가능성
- 클라이언트와 서버 함수의 구분과 보안 관점
- 페이지 간 데이터 전달 방법과 보안 고려사항
- React, Next.js, PHP 연관성 및 개발자 경험 토론
- Next.js와 React 생태계 및 SEO 전략
- 개발 문화 속 ‘순응’과 컨벤션 논의
- 면접팁⚡ 및 참고 링크
1. 스타트업 투자 유치와 현실적인 조언 💼
- 투자 유치는 회사에 실제 돈이 들어오기 전까지 확정된 게 아니다.
- 투자 집행은 보통 2~3개월의 심사 및 절차를 거친다.
- 투자 조건이 맞지 않으면 무산될 가능성도 크다.
- 런웨이(runway, 회사가 버틸 수 있는 기간)가 2달 이하일 경우, 이직 준비를 권장.
- 과거 투자(예: 2020년) 이후 후속 투자가 없다면, 정부 지원사업이나 R&D 지원금으로 일부 운영하고 있을 가능성 높음.
- 투자 시장이 얼어붙어 (불황기) 스타트업 경영이 매우 어렵다.
- 기술적인 기반, 팀 상황에 따라 피봇(사업 방향 전환) 시도도 많음. 예: 비트코인 → 생성형 AI.
- SI(시스템 통합) 회사는 대형일 경우 자금 흐름이 안정적이며, 큰 변동 없이 어느 정도 운영 가능.
피봇(Pivot) 설명: 스타트업이 기존 사업 모델이나 제품 방향을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 시장 상황, 기술변화, 투자 여건에 따라 사업 전략을 수정하는 경우가 많음.
2. Next.js와 Server Actions 개념 정리 ⚙️
- Next.js는 React 기반의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프레임워크.
- Server Actions는 클라이언트에서 호출하지만 서버에서 실행되는 함수 개념.
- Server Actions는 주로 데이터를 가져와 SSR을 수행하거나, 민감 정보 노출 없이 안전하게 처리 가능.
- 일반적인 GET 요청에 적합하며, POST 요청(업데이트 작업) 등은 별도의 API 백엔드가 필요할 때도 있음.
- Next.js 자체가 백엔드 서버 역할을 하므로, API 서버가 따로 없이도 백엔드 기능을 일부 대체 가능.
Server Actions 설명: 클라이언트 UI에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서버에서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해, DB 작업이나 다른 백엔드 로직을 처리하고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기능.
3. Next.js의 SSR과 API 서버 분리 이슈 🔄
- Next.js는 SSR을 통해 초기 로딩 속도와 SEO 최적화에 강점.
- 그러나 SSR을 하면서 데이터 처리 부하가 서버에 몰릴 수 있음.
- 대규모 혹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은 API 서버를 분리해 역할을 나누는 것이 유지보수와 확장성에 유리함.
- API 서버 분리는 워터폴(waterfall) 문제 완화에도 도움을 줌.
워터폴 문제 설명: 웹 요청 중 여러 API 호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전체 로딩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 병렬 처리나 캐싱 전략으로 개선 가능.
4. Next.js 14의 새로운 기능과 라우팅 변경 가능성 🆕
- Next.js 14부터 라우팅에서 router.query 기능이 app 라우터에서는 없어짐.
- 데이터 전달 시 쿼리 파라미터, 쿠키, 로컬스토리지, 전역 상태관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 가능.
- Next.js의 파일 구조 및 라우팅 규칙은 현업에서 대부분 기본 규칙을 준수하고 있음.
- 라우팅 구조 변경은 거의 하지 않으며, 일종의 컨벤션 또는 표준으로 받아들여짐.
5. 클라이언트와 서버 함수의 구분과 보안 관점 🔐
- Next.js 14에서 ‘use server’, ‘use client’ 모듈을 통해 서버 전용 함수와 클라이언트 전용 코드를 구분.
- 서버 함수는 클라이언트에서 호출되지만 네트워크 요청을 통해 서버에서 실행됨.
-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는 민감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됨.
- 클라이언트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본질적으로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는 서버에서만 처리하는 것이 필수.
6. 페이지 간 데이터 전달 방법과 보안 고려사항 🔗
- 페이지 이동 시 데이터를 넘기는 방법은 다양함:
- 쿼리 파라미터(query params)
- 쿠키
-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
- 전역 상태관리(state management)
- 서버 세션
- 쿼리 파라미터에 비밀번호나 민감 정보는 담으면 안 됨.
- POST 메소드(폼 데이터 전송)를 통한 안전한 데이터 전송이 권장됨.
- 클라이언트에 노출되는 정보는 암호화해도 완전한 보안이 어렵기에 주의 필요.
7. React, Next.js, PHP 연관성 및 개발자 경험 토론 💻
- React는 UI 라이브러리, Next.js는 이를 기반으로 한 SSR 프레임워크.
- PHP는 오랜 기간 웹 서버 사이드에서 사용돼온 언어.
- Next.js 등장 전 서버 사이드 렌더링은 PHP, ASP.NET 등이 담당했음.
- React 도입 후 프런트엔드 개발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
- 일부는 PHP를 유머 섞어 'use PHP'라며 익숙함과 새로운 기술 차이를 토론.
- SEO 때문에 SSR(서버 사이드 렌더링) 공부를 시작한다는 의견이 많음.
8. Next.js와 React 생태계 및 SEO 전략 🌐
- SPA(Single Page Application)는 SEO에서 불리할 수 있음.
- Next.js SSR은 서버에서 미리 완성된 HTML을 내려줘 SEO 최적화에 유리.
- React만 공부해도 내부 동작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
- 고객 경험은 결국 잘 보이고 빠른 UI가 중요하므로, 기술 선택은 현실적인 목표에 맞춰야 함.
9. 개발 문화 속 ‘순응’과 컨벤션 논의 🎭
- Next.js app 구조는 예약된 규칙(파일명, 폴더 구조)으로 짜여져 있음.
- 실무에서는 이 규칙을 크게 바꾸지 않고 순응하는 것이 일반적.
- ‘순응’은 약속된 컨벤션에 따라 일관성을 유지하고 협업 효율을 높이는 의미로 자주 사용.
- 개발 현장에서는 컨벤션이 작업 범위를 줄여주고 안정성을 제공함.
10. 면접팁⚡
- 스타트업 투자와 운영 현실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런웨이 및 투자절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면 좋음.
- Next.js에서 SSR, Server Actions, API 서버 분리의 개념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자.
- 보안 관점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데이터 흐름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숙지할 것.
- 개발 규칙(컨벤션)과 그 이유, 현업 적용 사례를 말할 줄 알아야 협업 능력 어필 가능.
- SEO 최적화와 SPA 한계에 대한 이해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필수이다.
링크🔗
- Server Actions 공식 문서: https://react.dev/reference/rsc/use-server
- Next.js app router 관련 공식 문서: https://nextjs.org/docs/app/api-reference/functions/use-router
- React 관련 서버 액션 가이드(한글): https://ko.react.dev/reference/rsc/use-server
- Next.js 14 관련 토픽: https://nextjs.org/blog/next-14
- 참고 GitHub 예제 (PHP + Next.js 밈): https://github.com/bufferhead-code/nextjs-use-php
- React 공식 문서(참고용): https://reactjs.org/docs/getting-started.html
- AES 암호화 참고 (클라이언트 보안): https://ko.react.dev/reference/react/experimental_taintUniqueValue
- YouTube 예시 (징글 영상 공유): https://youtube.com/shorts/7Esjna4zULg?si=fAIPnrWeXCg1Zm3N
#스타트업#투자유치#NextJS#SSR#React#서버액션#웹개발#프론트엔드#백엔드#라우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