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썸네일react

2024-02-04

목차

  1. 철권 이야기와 오락실 소소한 대화
  2. Scrollbar Resizer Zone에 버튼/아이콘 넣기 팁
  3. ORM과 SQL 실력 향상에 대한 논의
  4. 리액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와 ORM 비교
  5. Vue.js와 React 비교 및 입문 조언
  6.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가공하는 방법과 고충
  7. 로컬 개발환경 HTTPS 적용 가능 여부
  8. 회사 내 레퍼런스 체크 및 정치질 문제
  9. 개발자 술 문화와 업무 효율 이야기
  10. 개발자 커뮤니티 소소한 잡담 및 공지

1. 철권과 오락실 이야기 🎮

  • "철권8"을 오락실에서 하는 사람도 있고 가볍게 게임 얘기가 오갔음.
  • 소소한 친목과 분위기 형성용 잡담이 많음.

2. Scrollbar Resizer Zone에 버튼/텍스트 넣기 방법

핵심 내용

  • scrollbar resizer zone에 버튼이나 텍스트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이 있었음.
  • 임시로 absolute positioning을 이용했지만 사이즈 조절이 힘들다는 불만.
  • 대안으로는 해당 영역을 아예 숨기고 별도로 필요한 UI를 구현하는 방법 추천.

설명
Scrollbar Resizer Zone은 보통 사용자가 창 크기를 조절하는 영역이다. 이곳에 UI를 넣으면 공간이 작아 보이기 쉽고, 위치와 크기 지정이 어렵다. 절대 위치를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반응형 대응이 어렵고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기본 제공 UI를 숨기고 커스텀 컴포넌트를 별도로 만드는 것이 완성도가 높음.

3. ORM과 SQL 실력 향상에 대해 ☑️

논의 요지

  •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라이브러리를 직접 만들어보면 SQL 실력에 도움이 될까?
  • 결과는 직접 SQL을 많이 다뤄야 SQL 실력이 향상된다는 의견 우세.
  • ORM은 SQL 문법보단 코드 작성 실력이 늘게 된다는 평가.
  •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선 완벽한 ORM 지원이 어려워서 쿼리 작성 자체가 주류라는 의견도 있었음.

초보자 설명
ORM은 객체 지향 언어에서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편하게 작성하도록 도와주는 도구다. SQL 경험을 쌓으려면 직접 쿼리를 작성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이 더 효과적이다. ORM은 편의를 위해 쿼리를 추상화하지만, 비효율적 쿼리가 생성될 위험도 있다.

4. 리액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vs ORM 라이브러리

  • 개인적으로 ORM 라이브러리와 리액트(React)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중 어떤 걸 먼저 만드는 게 좋을지 고민하는 대화가 있었음.
  •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는 실제 프론트엔드 개발 흐름에 밀접하여 배우기 쉬운 편.
  • ORM은 백엔드 중심이고 쿼리 이해도가 중요해 배우기 난도가 더 높을 수 있음.

5. Vue.js와 React 비교 및 입문 🆚

핵심 포인트

  • React 3개월 실무 경험자라면 Vue.js 전환 시간 부담 크지 않음.
  • Vue.js는 JavaScript 문법 자체는 React와 크게 다르지 않고, 오히려 직관적이라 입문 쉬움.
  • Vue의 script setup 문법은 React Hooks와 유사해 익숙해지기 수월함.
  • 현업에서는 신규 프로젝트는 React를 더 많이 쓰는 경향 있음.
  • Vue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도 크게 걱정할 필요 없음.

6. 서버 데이터 가공 문제와 해결 팁 🧩

  • 서버에서 넘겨받은 데이터가 여러 차원 배열(n차 배열), 값 유무가 혼합된 복잡한 형태여서 가공이 어려움 호소.
  • 자료를 깔끔하게 변형하려면 reduce 함수 활용 추천.
  • reduce는 배열을 누적하며 원하는 형태로 쉽게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는 함수임.
  • 추가적으로 filter, some, every 등의 배열 함수와 조합하면 유용함.

7. 로컬 개발환경에서 HTTPS 적용 가능 여부 🔐

  • 로컬 개발환경에서도 HTTPS 적용해서 테스트 가능하다 판단하는 의견이 다수.
  • HTTP 프론트엔드와 HTTPS 백엔드가 섞이면 보안 관련 에러가 발생할 수 있어서 양쪽 모두 HTTPS 환경에서 테스트 하는 것이 좋음.
  •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https 로컬 서버 구축 후 테스트하길 권장함.

8. 회사 내 레퍼런스 체크 및 정치질 문제 🏢

상황

  • 디자이너가 팀원들을 협박하며 대표와 사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등 갑자기 분위기가 험악해짐.
  • 소규모 회사에선 이런 정치질이 나타나기도 하며, 개발자는 개발에 집중하고 싶어함.
  • 실력 있으면 어느 정도 무시해도 되며, 정치질은 실력으로 이기기 힘들다는 의견도 나옴.
  • 연봉 협상이나 회사 내 존재감 유지를 위해 정치력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 생각하는 의견도 공유됨.
  • 결국 회사 분위기가 좋지 않고 구성원 간 갈등이 많으면 이직을 고려할 만함.

9. 개발자 술 문화와 업무 효율 🍺

  • 회사 점심시간이나 퇴근 후 간단한 술자리 이야기도 오갔음.
  • 과음은 안 좋지만 한두잔은 분위기 조성과 업무 효율에 도움이 된다는 다소 유머러스한 의견 교환.
  • ‘음주 코딩’은 효율성이란 표현은 농담이며, 적당한 음주는 팀 분위기 형성에 긍정적이라는 입장.

10. 기타 개발 커뮤니티 소소한 이야기 및 공지

  • Flutter로 웹 구현을 해보다 React 오픈톡방에 가입한 신입 개발자 언급.
  • ‘성공조연’ 이직 및 창업 지원 서비스 베타 오픈 홍보 공유.
  • 개인 공부 일정, 방 이용 환영, 잡담 등이 활발히 오갔음.
  • Panda CSS 등 CSS 툴 관련 실험 이야기와 설날 성과급 기대감도 등장.

면접팁⚡

  • Vue.js를 처음 접하는 React 경력자라도 실무 3개월 정도면 전환 부담이 크지 않음을 어필해보자.
  • ORM은 직접 쿼리 실력을 함께 갖춰야 하므로 백엔드 포지션에서 SQL 능력을 강조해야 함.
  • 회사 내 정치질과 소규모 팀 내 갈등에 대한 질문이 있을 경우, 실력과 사회성 균형의 중요성을 솔직히 이야기하는 것이 좋음.

링크🔗

#React#Vue#ORM#SQL#프론트엔드#HTTPS#개발자잡담#팀문화#회사문화#데이터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