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썸네일react

2023-12-01

목차

  1. 개발자 장비와 셋업 이야기
  2. C / C++과 임베디드 개발 언급
  3. 그래픽카드 시세와 PC 부품 가격 변화
  4. 집 서버, 나스(NAS), 랙(Rack) 운용과 팬 소음 이슈
  5. 프로그래밍과 취미, 부, 인생 이야기
  6. IDE 비교: 인텔리제이 vs 웹스톰 vs VSCode
  7. 리액트 렌더링과 최적화 관련 질문 및 설명
  8. Next.js와 React 프레임워크 토론
  9. TypeScript 유니온 타입 매핑 질문
  10. 대시보드 성능 최적화와 상태관리 전략 토론

1. 개발자 장비와 셋업 이야기 🎧🖥️

  • 삼성 M7 모니터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많음.
  • 아이폰을 선호하는 개발자들이 많지만, 안드로이드폰 특히 갤럭시 시리즈를 선호하는 의견도 있음.
  • 셋업 과정과 장비 비주얼에 대한 자부심이 높으며, 실제 촬영은 아이폰으로 하는 경우가 많음.
  • 좋은 사진 촬영과 카메라 장비에 대한 관심도 존재하나, 부담스러운 가격 때문에 폰카가 대체재로 쓰임.
  • 스피커와 음향 장비에 대한 얘기도 자주 오가며, 룸 어쿠스틱(음향 환경)이 좋은 소리에 큰 역할을 한다고 언급됨.

2. C / C++과 임베디드 개발 언급 🔧

  • 개발자들 사이에서 C / C++ 경험에 대한 질문 많음.
  •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사례 등장.
  • C / C++은 주로 기본적인 컴퓨터공학 커리큘럼에서 배우고, 임베디드 분야 또는 싸피(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준비생이 자주 다룸.
  • 싸피와 소프트웨어 멤버쉽 프로그램 차이 및 난이도에 대한 언급이 있었는데, 소프트웨어 멤버쉽이 없어진 후 싸피가 인기임.

초보자 설명:
C와 C++은 하드웨어와 가까운 성능 중심 언어로 임베디드 시스템, 게임,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널리 사용됨. 임베디드 개발은 제한된 자원에서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술을 뜻함.

3. 그래픽카드 시세와 PC 부품 가격 변화 💻

  • 그래픽카드(예: RTX 3070, 3090) 시세가 많이 내림.
  • 예전에는 중고로 사서 비싸게 팔던 시기였으며, 지금은 정가 대비 많이 하락한 상태라고 함.
  • ITX 케이스와 케이스 브랜드 프랙탈 디자인에 대한 긍정적 평.
  • 중고 부품 활용과 서버용으로 구형 제온 CPU를 조립하여 VM 다수 구동 경험 공유.

4. 집 서버, NAS, 랙(Rack) 운용과 팬 소음 이슈 🖥️

  • 집에 서버 랙 배치 희망과 NAS 운용 경험 공유.
  • 서버 팬 소음에 관한 고민과 냉각 문제 다룸.
  • 서버를 집에서 돌리려면 방음이나 팬 저소음 제품, 랙 크기에 따른 공간 문제 등이 필수적으로 고려됨.
  • 실제 서버실 운영하며 느낀 온도 관리 어려움도 이야기됨.

초보자 설명: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쉽게 말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저장장치이며, 집에서 여러 기기의 데이터를 중앙으로 모아 관리할 때 사용됨. 서버 랙은 서버 여러 대를 효율적으로 보관・운영하기 위한 금속 선반 시스템임.

5. 프로그래밍과 취미, 부, 인생 이야기 💰🎯

  • 부자가 된 후의 삶과 프로그래밍을 취미로 즐기는 마음가짐에 대해 심도있는 이야기가 오감.
  • 성공 후에도 돈을 쉽게 쓰지 못하는 심리와 목표 달성의 의미가 논의됨.
  • 개발자로서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도 여전히 자기계발과 성장을 희망하는 자세가 강조됨.
  • 삶의 다양한 가치관 공유 및 현 직장과 연봉에 관한 솔직담백한 토론 포함.

6. IDE 비교: 인텔리제이 vs 웹스톰 vs VSCode 🛠️

  • 인텔리제이 얼티밋은 웹스톰을 포함한 통합 도구임.
  • 웹스톰은 주로 웹개발 전용이며, 인텔리제이는 더 무거운 대신 기능 풍부함.
  • 많은 개발자들은 무거워서 VSCode를 선호하지만, 웹스톰의 기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
  • 개인에 맞는 도구 선택이 중요하다는 의견.

7. 리액트 렌더링과 최적화 관련 질문 및 설명 ⚛️

  • 리렌더링이 리액트 성능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다뤄짐.
  • Context API를 두 개로 나눠 쓰는 이유: 리렌더링 범위를 줄여 성능 최적화 목적.
  • 리액트에서는 렌더링이 가상 돔 생성 및 비교를 의미하며, 실제 DOM 업데이트는 커밋 단계임.
  • 메모이제이션 훅(useMemo, useCallback)은 복잡한 연산 시에만 사용 권장.
  • 과도한 메모이제이션은 오히려 성능 저하 유발 가능성 있음.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Redux, Recoil, Zustand) 활용도 추천됨.

초보자 설명:
리액트는 UI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렌더링→비교→커밋’ 과정을 거침. 렌더링은 컨포넌트 함수가 실행되는 과정이고, 실제로 화면에 변화를 주는 것은 커밋 단계임. Context API는 전역 상태를 손쉽게 공유하는 도구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렌더링 과다를 초래할 수 있어 적절한 분리가 필요함.

8. Next.js와 React 프레임워크 토론 ⚙️

  • Remix, Next.js, Astro 등의 React 기반 프레임워크 비교 토론.
  • Remix는 Next.js보다 ‘React 스펙’을 완전히 따르지 않는 ‘혼종’ 접근이라 평가됨.
  • Next.js는 React의 표준스펙에 가장 근접하고 있지만, Vercel 의존성과 안정성 문제는 불만 요소.
  • Next.js 13버전의 앱 디렉토리(app dir)와 페이지 디렉토리(pages dir) 차이 논의.
  • Next.js 최신 버전 전환 시 일부 라이브러리 호환성 문제도 언급됨.

9. TypeScript 유니온 타입 매핑 질문 🤔

  • 복잡한 유니온 타입 a, b, c와 숫자 타입 2,3을 매핑해 1:1 대응시키는 질문.
  • TypeScript에서는 매핑 타입과 조건부 타입을 활용해 유니온 타입 간 관계를 정의할 수 있음.
  • 해결을 위해 상황에 맞는 타입 변환과 분기 로직 구현 필요.

초보자 설명:
TypeScript의 유니온 타입은 여러 타입을 하나로 묶은 것으로, 조건부 타입과 매핑 타입을 통해 서로 다른 유니온 타입 간 매핑 규칙을 작성 가능함. 어려울 경우 공식 문서와 사례 참고를 권장함.

10. 대시보드 성능 최적화와 상태관리 전략 토론 📈

  • 대시보드처럼 데이터 실시간 변동이 많은 UI의 리렌더링 최적화가 필수임.
  • Context API만으로 모든 상태 관리 시 성능 저하 가능성.
  • 컴포넌트 설계 시 지나친 전역 상태 사용 지양하고, 관심사 분리 필요.
  • 외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Redux, Recoil, Zustand 등) 활용 추천.
  • 서버 성능, 네트워크 요청 등 백엔드와의 협업 중요성 언급.

면접팁⚡

  • 리액트 렌더링 과정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Context API의 역할과 한계, 최적화 전략에 대한 질문 자주 나옴.
  • Next.js와 Remix 등 주요 React 프레임워크 특징 및 차이점을 숙지할 것.
  • 기술 면접 시 회사 기술 스택과 사용 이유에 대해 사전조사 필수.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선택 및 사용 경험을 구체적으로 말할 준비를 하자.

링크🔗

#프로그래밍#리액트#NextJS#TypeScript#개발자라이프#개발도구#성능최적화#그래픽카드#서버운용#취미개발